
변변한 천연자원 없이 대한민국이 세계 7위 수출국으로 부상할 수 있었던 원동력은 주조와 금형, 용접, 소성가공, 열처리 등 튼튼한 산업 뿌리에서 나왔다는 사실을 모두 알고 있다. 하지만 지역 내 위치한 뿌리산업의 집적화, 현대화, 선진화를 위한 정부와 지자체의 노력은 주민 반대에 부딪혀 많은 갈등을 낳고 있다.
정부는 지난 2011년 뿌리산업 진흥법을 만들고 이듬해부터 본격 진흥에 나섰다. 이후 뿌리 기업의 입지 확보 지원 및 물류비용 절감, 생산성 향상 등을 위한 산업단지 마련에 각 시·군이 적극 나설 수 있는 토대가 마련됐다.
이에 따라 군포시가 지역 내 500여 개에 달하는 뿌리 기업을 위한 특화단지 조성 계획을 추진하고 나섰다가 지역 주민 반발로 무산됐다.
지난해 7월부터 해당 연구용역을 진행하고 현재 부곡동에 건설 중인 부곡첨단산업단지 안에 뿌리 기업을 입주시키는 계획을 마련했지만 환경 피해를 우려한 주민 반발에 발목이 잡힌 것이다. 실제 단지에서 반경 3㎞ 정도 떨어진 아파트 입주민들은 뿌리업체의 작업공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중금속 물질과 악취, 미세먼지 등을 이유로 특화단지 조성을 반대하는 민원을 제기했다. 시는 결국 뿌리산업 특화단지 조성을 포기해야 했다. 이와 관련 한 금형업체 대표는 "최근 공장자동화 설비를 통해 쾌적한 근무환경을 마련하고 있는데 주민들은 여전히 더럽고 위험한 3D 업종으로 치부하고 있어 안타깝다"고 토로했다. 이를 두고 많은 기업 관계자들도 주민들의 님비(지역이기주의) 현상에 대한 우려를 나타내고 있다.
뿌리 산업을 지원하는 정부 정책이 주민 반대라는 현실의 벽을 넘어서질 못해 지역경제 활성화, 더 나아가 국가 경제 발전에도 걸림돌이 될 수 있다는 지적이다. 그러나 주민 입장에서 보면 쾌적하고 안전한 생활 환경을 지키려는 노력은 당연하다는 점도 인정할 수밖에 없다.
대한민국이 새로운 미래로 나아가기 위한 중대 기로에 서 있는 지금, 갈등을 해소하고 건설적인 대안을 찾기 위해서는 나와 다른 시각을 가진 상대방에 대한 입장을 이해하려는 '역지사지(易地思之)'의 마음이 필요하다.
/이성철 지역사회부(군포) 차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