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미대선'으로 불리는 5·9 대통령선거가 30일 앞으로 다가왔지만, 판세는 여전히 '시계제로'다.
한 달 사이에도 몇 번은 판세가 출렁일 수 있다는 것이 각 후보는 물론 정치권 안팎의 공통된 예상이기도 하다.
보수성향 유동층의 향방과 후보 단일화 여부, 선거비용 문제, 그리고 네거티브 공방에서 누구에게 어떤 불똥이 튀느냐 등이 남은 기간 결정적 변수로 작용할 전망이다.
◇ '潘→黃→安→安' 거친 보수층 표심의 종착역은
보수층 표심이 최종적으로 어디를 향할지가 대선의 결과를 좌우할 첫 번째 변수로 꼽힌다.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사태에 실망한 보수층은 반기문 전 유엔 사무총장, 황교안 대통령 권한대행, 안희정 충청남도지사를 거쳐 이제는 국민의당 안철수 후보에게 유입되는 양상이다.
한국갤럽이 지난 4∼6일 전국 성인 1천5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3.1%포인트, 한국갤럽 또는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 참조)에서 안 후보는 전주보다 16%포인트 급등한 35%를 기록, 38%의 더불어민주당 문재인 후보를 바짝 추격했다.
특히 안 후보는 보수층에서 42%의 지지를 얻어 범보수 주자인 자유한국당 홍준표 후보(22%)와 바른정당 유승민 후보(5%)를 크게 앞섰다.
그러나 보수층 표심이 안 후보 곁에 계속 머물러 있을지는 미지수다.
지금처럼 안 후보가 문 후보의 유일한 대항마로 실질적인 양강구도를 계속 끌고 갈 수 있다면 보수 유권자들이 '사표 방지' 심리와 문 후보 집권 저지라는 명분에 따라 안 후보에게 표를 던질 가능성이 크다.
반대로 문 후보가 '대세론'을 회복하거나 안 후보의 추격세가 꺽일 경우 일종의 '대안'으로 안 후보를 지지해온 보수층이 실망해 떠나갈 여지도 충분하다.
범보수 진영에서 안보와 이념, 지역감정을 고리로 '안철수 때리기'에 나선 것은 이처럼 안 후보에게 흘러온 보수층 지지가 견고하지 않기 때문이다.
◇ '비문 단일화' 가능할까…洪·劉 '보수 단일화'도 주목
후보 단일화로 막판 구도가 급변할 가능성도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번 대선에서는 원내 5당이 모두 후보를 낸 만큼 단일화 방정식이 어느 때보다 복잡하다.
가장 파괴력이 큰 시나리오는 한국당, 국민의당, 바른정당과 '제3지대' 후보가 모두 참여하는 '비문(비문재인) 후보' 단일화다.
지난달까지만 해도 유력하게 제기됐으나, 각 당에서 선출된 후보들이 저마다 '자강론'을 내세우면서 현재는 잠잠해진 상태다.
특히 열쇠를 쥔 안 후보가 "정치공학적 연대론을 모두 불살랐다"고 선을 그어 성사 가능성이 낮아졌다. 안 후보는 인위적 연대 없이도 실질적 양강구도를 만들 수 있다는 자신감이 있는 데다 범보수와 손을 잡으면 '적폐 연대'라는 공격의 빌미를 줄 것을 우려한다.
그러나 단일화 없이는 문 후보를 넘어서기 어려운 상황으로 굳어질 경우 어떤 식으로든 비문연대 논의가 다시 살아날 가능성을 배제할 수는 없다.
이와 별도로 홍 후보와 유 후보 간 보수후보 단일화도 성사 가능성이 있다.
원래 한 뿌리인 데다 선거 결과에 따른 존립 위기감이 작지 않다는 점에서 후보 차원의 단일화는 물론 아예 합당하자는 주장도 나오고 있다.
다만 후보 간 감정의 골이 깊어진 상황이고, 한국당 친박(친박근혜)계와 바른정당 창당 주도세력 간 갈등이 심해 대선 전 연대가 쉽지 않다는 관측도 있다.
◇ 10% 안되면 선거비용 못 건져…'돈도 문제'
후보 단일화 가능성을 좌우할 부차적 변수로 돈 문제도 무시할 수 없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는 올해 대선에서 후보자 1인당 509억9천400만원의 선거비용을 쓸 수 있다고 결정했지만, 득표율이 낮으면 국고 지원을 받을 수 없다.
유효투표 총수의 15% 이상을 득표하면 선거비용 제한액 범위에서 지출한 전액을 보전받고, 10∼15%를 득표하면 절반만 보전받는다. 한 자릿수대 득표 후보는 한 푼도 못 건진다는 이야기다.
따라서 지지율 회복이 어려운 상황이 되면 비용의 압박으로 완주를 포기하거나 단일화 협상의 문을 마지못해 열 가능성이 생길 수 있다.
◇ 약점 노리는 네거티브 공방, 누구에게 더 치명적일까
치열한 네거티브 검증 공방이 어느 후보에게 더 치명적인 결과로 이어질지도 주목해야 한다.
문 후보에게 제기된 아들 '채용 특혜' 의혹과 노무현 전 대통령 사돈 음주사고 은폐 의혹, 안 후보에게 제기된 조폭 연루와 '차떼기' 경선 동원 의혹 등이 대표적이지만 앞으로 추가 의혹이 튀어나올 가능성도 있다.
상대적으로 지지율이 낮은 홍 후보와 유 후보의 경우에는 '막말 논란'과 '배신자 프레임'을 어떻게 극복할지가 관건이다.
◇ 급변하는 국제정세…안보 이슈 쟁점화할까
북한 핵 문제를 둘러싸고 급박하게 돌아가는 국제정세와 북한 김정은 정권의 추가 도발 여부도 선거 변수다.
범보수 진영 후보들이 야권 후보들에게 '불안한 안보관'이라는 프레임을 씌워 보수층 결집에 성공할 경우 대선이 다자 구도로 재편될 수 있다.
특히 미국의 시리아 폭격으로 도널드 트럼프 미 행정부가 북한에 선제타격을 할지 모른다는 긴장감이 고조되면서 안보 이슈의 쟁점화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야권의 정권교체 프레임이 워낙 강해 웬만큼 큰 안보 이슈가 아니고서는 미풍에 그칠 것이라는 반론도 만만찮다. /연합뉴스
한 달 사이에도 몇 번은 판세가 출렁일 수 있다는 것이 각 후보는 물론 정치권 안팎의 공통된 예상이기도 하다.
보수성향 유동층의 향방과 후보 단일화 여부, 선거비용 문제, 그리고 네거티브 공방에서 누구에게 어떤 불똥이 튀느냐 등이 남은 기간 결정적 변수로 작용할 전망이다.
◇ '潘→黃→安→安' 거친 보수층 표심의 종착역은
보수층 표심이 최종적으로 어디를 향할지가 대선의 결과를 좌우할 첫 번째 변수로 꼽힌다.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사태에 실망한 보수층은 반기문 전 유엔 사무총장, 황교안 대통령 권한대행, 안희정 충청남도지사를 거쳐 이제는 국민의당 안철수 후보에게 유입되는 양상이다.
한국갤럽이 지난 4∼6일 전국 성인 1천5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3.1%포인트, 한국갤럽 또는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 참조)에서 안 후보는 전주보다 16%포인트 급등한 35%를 기록, 38%의 더불어민주당 문재인 후보를 바짝 추격했다.
특히 안 후보는 보수층에서 42%의 지지를 얻어 범보수 주자인 자유한국당 홍준표 후보(22%)와 바른정당 유승민 후보(5%)를 크게 앞섰다.
그러나 보수층 표심이 안 후보 곁에 계속 머물러 있을지는 미지수다.
지금처럼 안 후보가 문 후보의 유일한 대항마로 실질적인 양강구도를 계속 끌고 갈 수 있다면 보수 유권자들이 '사표 방지' 심리와 문 후보 집권 저지라는 명분에 따라 안 후보에게 표를 던질 가능성이 크다.
반대로 문 후보가 '대세론'을 회복하거나 안 후보의 추격세가 꺽일 경우 일종의 '대안'으로 안 후보를 지지해온 보수층이 실망해 떠나갈 여지도 충분하다.
범보수 진영에서 안보와 이념, 지역감정을 고리로 '안철수 때리기'에 나선 것은 이처럼 안 후보에게 흘러온 보수층 지지가 견고하지 않기 때문이다.
◇ '비문 단일화' 가능할까…洪·劉 '보수 단일화'도 주목
후보 단일화로 막판 구도가 급변할 가능성도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번 대선에서는 원내 5당이 모두 후보를 낸 만큼 단일화 방정식이 어느 때보다 복잡하다.
가장 파괴력이 큰 시나리오는 한국당, 국민의당, 바른정당과 '제3지대' 후보가 모두 참여하는 '비문(비문재인) 후보' 단일화다.
지난달까지만 해도 유력하게 제기됐으나, 각 당에서 선출된 후보들이 저마다 '자강론'을 내세우면서 현재는 잠잠해진 상태다.
특히 열쇠를 쥔 안 후보가 "정치공학적 연대론을 모두 불살랐다"고 선을 그어 성사 가능성이 낮아졌다. 안 후보는 인위적 연대 없이도 실질적 양강구도를 만들 수 있다는 자신감이 있는 데다 범보수와 손을 잡으면 '적폐 연대'라는 공격의 빌미를 줄 것을 우려한다.
그러나 단일화 없이는 문 후보를 넘어서기 어려운 상황으로 굳어질 경우 어떤 식으로든 비문연대 논의가 다시 살아날 가능성을 배제할 수는 없다.
이와 별도로 홍 후보와 유 후보 간 보수후보 단일화도 성사 가능성이 있다.
원래 한 뿌리인 데다 선거 결과에 따른 존립 위기감이 작지 않다는 점에서 후보 차원의 단일화는 물론 아예 합당하자는 주장도 나오고 있다.
다만 후보 간 감정의 골이 깊어진 상황이고, 한국당 친박(친박근혜)계와 바른정당 창당 주도세력 간 갈등이 심해 대선 전 연대가 쉽지 않다는 관측도 있다.
◇ 10% 안되면 선거비용 못 건져…'돈도 문제'
후보 단일화 가능성을 좌우할 부차적 변수로 돈 문제도 무시할 수 없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는 올해 대선에서 후보자 1인당 509억9천400만원의 선거비용을 쓸 수 있다고 결정했지만, 득표율이 낮으면 국고 지원을 받을 수 없다.
유효투표 총수의 15% 이상을 득표하면 선거비용 제한액 범위에서 지출한 전액을 보전받고, 10∼15%를 득표하면 절반만 보전받는다. 한 자릿수대 득표 후보는 한 푼도 못 건진다는 이야기다.
따라서 지지율 회복이 어려운 상황이 되면 비용의 압박으로 완주를 포기하거나 단일화 협상의 문을 마지못해 열 가능성이 생길 수 있다.
◇ 약점 노리는 네거티브 공방, 누구에게 더 치명적일까
치열한 네거티브 검증 공방이 어느 후보에게 더 치명적인 결과로 이어질지도 주목해야 한다.
문 후보에게 제기된 아들 '채용 특혜' 의혹과 노무현 전 대통령 사돈 음주사고 은폐 의혹, 안 후보에게 제기된 조폭 연루와 '차떼기' 경선 동원 의혹 등이 대표적이지만 앞으로 추가 의혹이 튀어나올 가능성도 있다.
상대적으로 지지율이 낮은 홍 후보와 유 후보의 경우에는 '막말 논란'과 '배신자 프레임'을 어떻게 극복할지가 관건이다.
◇ 급변하는 국제정세…안보 이슈 쟁점화할까
북한 핵 문제를 둘러싸고 급박하게 돌아가는 국제정세와 북한 김정은 정권의 추가 도발 여부도 선거 변수다.
범보수 진영 후보들이 야권 후보들에게 '불안한 안보관'이라는 프레임을 씌워 보수층 결집에 성공할 경우 대선이 다자 구도로 재편될 수 있다.
특히 미국의 시리아 폭격으로 도널드 트럼프 미 행정부가 북한에 선제타격을 할지 모른다는 긴장감이 고조되면서 안보 이슈의 쟁점화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야권의 정권교체 프레임이 워낙 강해 웬만큼 큰 안보 이슈가 아니고서는 미풍에 그칠 것이라는 반론도 만만찮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