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600대 모듈트랜스포터 작업
거치 완료시 선체세척·방역
안정도검사 거쳐 수색 시작
세월호가 특수이송장비, 모듈 트랜스포터에 실려 9일 오후 5시30분께 완전히 육지 위로 올라왔다.
세월호 참사가 발생한 지 1천89일만이자, 지난달 25일 세월호를 반잠수식선박에 올린 지 보름, 목포신항에 도착한 지 9일만이다. 3년간 미궁에 빠졌던 사고 원인에 대한 본격적인 조사와 9명 미수습자를 찾기 위한 수색 작업도 조만간 시작될 것으로 보인다.
해양수산부는 이날 새벽 최종점검 결과, 모듈 트랜스포터 600대가 세월호를 이송하는데 문제가 없다고 판단해 오전 9시부터 세월호를 들어올린 모듈 트랜스포터를 반잠수식 선박 끝으로 이동시켰다.
만조시간대를 노려 반잠수식 선박과 부두의 높이를 최대한 맞추다가 오후 1시께 모듈 트랜스포터가 철판다리를 넘어 육상으로 첫발을 내딛게 했다.
전체 길이 145m의 세월호를 실은 모듈 트랜스포터는 오후 2시 부두 위로 30m 진입, 오후 3시 60m 진입, 오후 4시 100m 진입 등 매우 더딘 속도로 조심스럽게 움직여 4시간 반 만에야 양륙이 완료됐다.
세월호 전체를 육상에 올려놓는데 성공한 해수부는 이날 오후부터 육상 거치대에 앉히는 작업을 하다 오후 7시40분께 안전상의 이유로 일단 중단했다.
세월호는 현재 무게가 1만7천t 내외로 추정되고, 옆으로 누워 모든 면에 고루 무게가 분포된 게 아니라서 모듈 트랜스포터가 무게중심을 잃지 않도록 매우 천천히 움직이고 있다. 해수부는 이날 작업이 고도의 정밀성을 요구하고, 목포신항 철재부두의 넓은 반경이 필요하기에 작업지점에 가로 300m, 세로 300m의 통제라인을 설치했다.
세월호 육상거치가 완료되면 선체 세척과 방역작업, 안정도 검사 후 미수습자 9명을 찾기 위한 선내 수색이 시작된다.
/이경진기자 lkj@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