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작년 학교 이어 종합운동장 등
24개 지자체 232곳 전체 69%
道 위해성 기준따라 연내교체
경기도 내 공공체육시설에 설치된 우레탄 트랙의 3분의 2에서 납과 카드뮴 등 중금속이 기준치 이상으로 발견됐다. 사태의 심각성을 인지한 경기도는 5월 중으로 긴급예산을 편성해 시설교체를 진행할 예정이지만, 실생활과 밀접한 체육시설까지 발암물질인 중금속이 검출되면서 도민들의 불안은 증폭되고 있다.
26일 경인일보가 입수한 자료에 따르면 도내 종합운동장과 공원 등 공공체육시설에 설치된 우레탄 트랙 336개소를 전수 조사한 결과, 그 중 232개소(69%)에서 납(Pb)·카드뮴(Cd)·6가크로뮴(Cr6+)·수은(Hg)·총휘발성유기화합물(T-VOCs)·다환방향족탄화수소(PAHs) 등이 KS(한국산업표준) 기준치 이상으로 검출됐다.
지자체별로는 수원 48곳, 용인 40곳, 성남 28곳, 부천 25곳 등 모두 24개 지자체의 공공체육시설에서 기준치 초과 사례가 나왔다. ┃그래픽 참조
지난해 학교에 설치된 일부 우레탄 트랙에서 암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진 중금속이 기준치 이상으로 검출되면서 교육부는 이들 학교를 대상으로 우레탄 트랙 교체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이처럼 우레탄 트랙이 사회적 문제로 불거지자 도는 지난해 하반기 일선 시군이 설치·운영하고 있는 공원 등의 공공체육시설의 우레탄 트랙을 대상으로 전수 조사를 벌였다.
도는 지난 3월 전수조사 결과가 도출됨에 따라 문화체육관광부와 개선대책 마련에 나섰고, 환경부의 '우레탄 트랙 위해성 관리 가이드라인'에 따라 실제 위험정도를 판단하는 위해성 평가를 진행했다.
도는 가이드라인에 따라 즉시 교체 10곳, 순차 교체 91곳 등 모두 101곳(17만4천㎡)의 우레탄 트랙을 올해 내에 교체한다는 방침이다.
교체 대상인 우레탄 트랙은 부천이 21곳으로 가장 많았고 고양 14곳, 안산 10곳, 파주·성남 9곳, 용인 7곳, 여주·과천 5곳, 광명 4곳, 의정부 3곳, 수원·가평·연천·화성 2곳, 안양·군포·이천·오산·의왕·동두천 1곳으로 집계됐다.
도는 교체 사업에 모두 185억원의 예산이 소요될 것으로 보고, 문화체육관광부에 국비지원을 신청한 상태다.
도 관계자는 "가이드라인에 따라 위해성을 평가한 결과 사용가능한 시설은 57개소에 불과한 것으로 확인됐다. 나머지 위해성이 있는 시설은 올해 내에 모두 교체될 수 있도록 작업을 서두르겠다"고 말했다.
도는 교체작업을 서두르고 있지만 공원 등 공공체육시설을 이용하는 도민들의 불안감은 점점 커져가고 있다. 경기환경운동연합 장동빈 사무처장은 "개인마다 건강상태나 발암물질과의 접촉 빈도가 다르기 때문에 위해성 유무는 섣불리 판단할 수 있는 부분이 아니다.
문제의 심각성을 인지하고, 하루 빨리 KS 기준치 이상의 모든 우레탄 트랙을 교체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신지영기자 sjy@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