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루하루 불평불만없이 사는것
주어진 인생 잘 살아가다 보면
마지막 순간엔 행복한 죽음 맞아
늘 감사한 일과 마음 갖게 되면
살아있다는 자체만으로도 즐거워

직업상 죽음을 참 많이 봐 왔다. 신부가 제일 많이 하는 일은 죽음을 앞둔 사람들을 찾아가 행하는 종부성사(임종 전에 치르는 천주교 의식)이다. 신부들은 24시간 전화기를 켜두어야 한다. 급한 임종은 대개 밤과 새벽 사이에 일어나기 때문에, 취침 중에라도 항상 대기모드로 해 둔다.
30년 가까운 시간, 한 달에 많게는 수차례씩 임종을 지켜보다 보니 죽음을 목전에 둔 얼굴을 보면 바로 알 수 있다. 이분이 지금 천당으로 가고 있는지 지옥으로 가고 있는지 말이다. 차분하고 평안한 얼굴로 떠날 채비를 하는 사람이 있는가 하면, 초조하고 불안한 눈빛으로 나를 바라보며 두려움에 떠는 사람도 있다.
그들의 얼굴을 마주할 때면 죽음 직전의 얼굴이 평생 살아온 인생의 지도라는 생각이 든다. 평생 남의 가슴에 못 박는 일 없이 주어진 삶에 감사하며 산 사람은 떠나는 길의 표정도 평화롭고 행복해 보인다. 웃음으로 생긴 잔주름과 잔잔한 입가의 미소가 눈물겹게 아름답다.
그러나 자기만 위하고 가족과 이웃을 외면하며 살았거나, 성공을 추구하느라 자신을 돌보지 못하고 내면의 자아를 학대하며 산 사람은 마지막 생명줄을 부여잡고 괴로워한다. 죽음 직전에 지나간 날들이 후회스러워 편히 떠날 수가 없는 것이다. 표정에 괴로움과 회환이 가득하지만, 종교의식 한 번으로 그 표정을 바꿀 수는 없다. 잘못 살아온 삶의 대가는 생의 마지막 순간 고스란히 받아야만 한다. 그런 의미에서 볼 때, 내가 살아온 삶의 모습이 곧 언젠가 맞이할 내 죽음의 모습이라고 할 수 있다.
그래서 나는 사람들에게 종종 이런 이야기를 한다.
"거울 속 얼굴을 가만히 들여다보세요. 그 얼굴이 바로 당신이 죽을 때의 얼굴입니다."
비슷해 보일지 몰라도 찬찬히 응시하면 거울 속 내 모습은 매번 다르다. 주어진 삶에 감사하면서 최선을 다해 열심히 산 날이면 거울 속 내 얼굴이 빛이 난다. 주름도 좀 없어진 것 같고 눈가에 생기가 돌기도 한다.
그러나 나만 생각하느라 가까운 사람을 등한시했거나, 불평불만으로 하루를 보낸 날이면 거울에 비친 낯빛이 어둡다. 지친 기색 때문에 주름도 더 있어 보이고 분노, 얼울함, 후회 등 부정적인 감정 때문에 눈빛도 흐려 보인다.
하루하루가 모여 인생이 된다고 생각하면, 결국 매일매일을 잘 살면 인생을 잘 사는 게 된다. 인생을 잘 살면 곧 마지막 순간에도 행복한 죽음을 맞이할 수 있다.
결국 죽음의 두려움을 없애는 가장 좋은 방법은 오늘 하루 주어진 삶을 잘 사는 것이다. 매 순간 있는 힘껏 잘 살면 죽음의 공포는 자연스럽게 사라진다. 죽음의 공포 대신 '한세상 잘 살았다'는 충만감이 자리하게 된다.
일전에 일주일 정도 단식을 한 적이 있다. 이틀이 지날 무렵부터 물맛이 그렇게 좋을 수 없었다. 이렇듯 결핍은 아주 작은 일에도 우리를 감사하게 만든다. 결핍 중 최고의 결핍은 죽음이다. 죽음이 예고 없이 찾아든다는 것을 늘 기억한다면 우리 사람은 감사한 일로 넘쳐나게 된다. 감사한 마음을 갖게 되면 살아있다는 자체만으로도 삶은 즐거워진다.
/홍창진 광명성당 주임신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