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유
11일 오후 성남 복정동과 서울 송파동을 잇는 송파대로에 서울로 진입하는 노후 경유차 운행을 제한하는 단속 카메라가 설치돼 있다. /하태황기자 hath@kyeongin.com

경기도가 지난해부터 일명 '알프스 프로젝트'로 대표되는 미세먼지 저감 대책을 쏟아내고 있지만, 상당수가 실제 시행되지 않아 '생색내기'라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이에 비해 서울시는 구체적인 실행방안을 추진하고 있어 대조를 보이고 있다.

11일 도에 따르면 지난해 9월 미세먼지 배출량을 3분의 1수준으로 줄이겠다는 '알프스 프로젝트'를 발표하면서 서해안 일부 지역을 미세먼지 프리존으로 지정하는 등 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실천과제 8개를 제시했다.

▲영세공장의 노후 대기오염 방지시설 개선 ▲전기자동차 급속충전소 확대 ▲청정버스정류장 설치 ▲가속페달을 밟지 않는 에코(ECO)도로 지정 ▲도로 먼지제거 차량 100대 증차 ▲농업잔재물 분리·배출하는 농촌지역 공동집하장 마련 ▲미세먼지측정소 추가설치 ▲대기감시 시스템 마련을 위한 드론 도입 등이다.

하지만 올 상반기 내 지정 완료하겠다던 미세먼지 프리존 계획은 백지화된 채 관련 예산 1억원은 캠페인 활동에만 쓰일 예정인 것으로 알려졌다. 4월부터 본격 추진하겠다던 에코도로 설치계획도 구간지정 조차 하지 못했다.

2017051101000774700037382

또 청정버스정류장 설치사업은 정부와 협의가 되지 않아 예산확보에 실패했고, 공동집하장을 마련한다는 계획은 사업부지를 확보하지 못한 채 표류하고 있는 상태다. 미세먼지 분석기는 단 1대도 없어 실질적인 미세먼지 원인 파악도 못하고, 분진흡입차량도 없어 살수차 등으로 이를 대체해 사용하는 형편이다.

이는 미세먼지 문제를 재난에 준하는 심각한 사안으로 보고 근본적인 해법 모색에 나선 서울시와 대조적인 모습이다. 서울시는 미세먼지 대책으로 모두 19곳에 운행제한 단속시스템을 설치하는 등 서울로 진입하는 노후 경유차에 대한 단속을 본격화했다. 분진흡입차량도 각 자치구에 1대 이상씩 모두 47대를 배치해 운영하고 있다.

분진흡입차량은 노면 청소차와 달리 차량 내부 필터로 최대 98.3%, 초미세먼지는 최대 98.2% 제거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 오는 27일 시민 3천명을 대상으로 '광화문광장, 미세먼지 시민대토론회'를 열어 사회적 합의를 기반으로 한 '서울형 대기질 정책'을 만들겠다는 포부다.

도 관계자는 "청정버스정류장·에코도로·공동집하장 등은 기한을 늘려 오는 2020년까지 시행해 나갈 것"이라며 "도민에게 깨끗한 공기를 제공하기 위한 경기도 차원의 대책을 발굴하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신지영·전시언기자 cool@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