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 이행땐 교통지옥·입석 해소
수인선 급행 신설은 이미 검토중
수도권광역교통청 설립도 약속해

인프라 부족 북부지역 배려 아쉬움


문재인 대통령의 경기도 교통공약은 출퇴근시간대 대중교통수단을 늘리겠다는 게 핵심이다.

경기도와 서울을 오가거나 순환하는 광역 교통수단을 늘려, 출퇴근 시간대 교통지옥을 해결하겠다는 복안이다.

새정부 계획대로 교통정책이 추진되면 평균 1시간36분에 달하는 수도권 출퇴근 시간이 줄어들고 위험천만한 광역버스 입석문제도 해결의 실마리를 찾을 수 있다.

실제 이에 대한 이행도 시작됐다. 급행열차가 다니는 경인선(1호선)과 문산∼지평을 잇는 경의중앙선에 급행열차를 추가로 투입하고, 인천∼오이도를 잇는 수인선에도 급행열차를 신설하는 방안이 검토되고 있는 것.

수도권광역교통청 설립을 약속한 만큼 광역단체가 협의에 필요한 광역버스 증차 문제도 중앙정부 차원에서 조율될 가능성이 높다.

국토부가 직접 담당하는 광역급행버스(M버스)의 신·증설은 정부가 마음만 먹으면 바로 이행이 가능한 사항이기도 하다. 남경필 경기지사의 광역교통 정책인 '2층 버스'도 중앙정부에 차용돼, 확대될 가능성이 높은 상태다. 남은 것은 실천 의지다.

다만 문재인 대통령의 교통공약에 포함되지 않고 간과된 부분은, 교통 인프라가 부족한 경기북부에 대한 배려다.

우리나라 전체 접경지역의 29.7%, DMZ의 33.8%가 경기 북부지역에 위치해 있으며 경기 북부지역의 44.3%가 군사시설보호구역으로 지정돼 있다.

이런 이유로 연천·가평·포천·동두천 일대는 행정구역 면적 대비 도로 연장률과 고속도로 비율이 도내에서 가장 낮은 수준이다. 이런 인프라 부족은 접근성 부족과 직결돼 지역민의 삶의 질을 떨어뜨린다. 실제 최근 경기연구원의 조사에서 경기북부 주민은 지역 발전을 위해 개선이 필요한 사항으로 '교통'을 꼽기도 했다.

양주-연천 고속도로 및 동서평화고속도로 조기 개설은 이 지역 주민들의 염원 사항이다.

도와 경기연구원 관계자는 "북부지역의 접근성을 향상시키면 주민의 편의증진과 함께 기업체 등의 유치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라며 "출퇴근 대중교통 정책과 함께 균형잡힌 교통 인프라 구축에도 새 정부가 신경을 써야 한다"고 말했다.

/김태성기자 mrkim@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