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성공단, 문 열릴까
문재인 정부가 5·24 대북제재 조치에 대해 재검토 입장을 보이면서 개성공단 재가동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다. 사진은 파주시 도라전망대에서 바라본 개성공단 일대 모습. /연합뉴스

"합동대책반 지원 중단… 도움 필요" 남은 피해보상등 강조

이희건 개성공단경기도기업인협의회 회장
이희건 개성공단경기도기업인협의회 회장은 "입주기업들이 모두 쓰러지기 전에 개성공단이 빨리 재가동 돼야한다"고 밝혔다.
"개성공단 입주기업들이 모두 쓰러지기 전에 개성공단이 재가동 돼야 합니다. 이미 기업들은 파산 직전이고, 소송까지 휘말려 하루하루 고통 속에서 지내고 있습니다."

문재인 정부가 북한과의 모든 인적·물적 교류를 금지한 2010년 5·24 대북제재 조치에 대해 재검토 입장을 보이자 그동안 억눌려 있던 개성공단 입주기업들의 한 맺힌 목소리가 터져 나왔다.

기업들은 개성공단 재가동이 즉시 이뤄지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생각하면서도, 문재인 대통령의 의지를 믿고 빠른 재가동과 문제 해결을 기대하는 모습이었다.

이희건 개성공단경기도기업인협의회 회장은 "개성공단이 다시 문을 열기 위해서는 국제적·국민적 여론수렴이 필요하고 무엇보다 대통령의 의지가 중요하다. 우리는 대통령을 믿는다"면서도 "하지만 기업이 살아야 개성공단으로 돌아갈 수 있는데 지금은 너무 어려운 상황에 몰려있다"고 지적했다.

이 회장은 특히 "현재 개성공단 입주 기업들은 도산 직전"이라며 "지난해 합동대책반이 추진하던 지원이 모두 중단됐다. 실효성 있는 빠른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조만간 경기도 내 개성공단 입주기업들의 의견을 수렴하는 자리를 만들어 정부에 요구를 전달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개성공단 입주기업 매스트의 김현주 대표도 "북핵 문제가 심각해진 현재 흐름 상 (개성공단 재개는) 남북만의 문제가 아닌 미국과 UN의 의견을 들어야 할 것 같다"며 "현실적으로 지금 당장 재개될 것이라고 생각지는 않지만, 반드시 재개될 것을 믿고 기다릴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아울러 "갑작스러운 정부의 조치로 막대한 피해를 입은 기업들에게 전 정권은 보상을 70%밖에 해주지 않았다. 남은 피해 보상도 이뤄져야 한다"고 지적했다.

협진카바링 이상협 대표는 "개성에 들어가는 것은 빠를수록 좋다"면서도 "개성에 들어간다고 해도 그동안 방치돼 있던 기기 등 정상화를 위한 시간과 이를 위한 보상이 필요하다"고 토로했다.

기업 중 일부는 개성공단 재가동을 서두르는 것이 자칫 오해를 불러일으킬 것을 우려하기도 했다. 오오엔육육 강창범 대표는 "남북관계가 악화된 상황과 그동안의 국민정서를 놓고 볼 때 개성공단 재개를 놓고 북한을 지원하는 것이라고 주장하는 목소리가 나올 수 있다"고 말했다.

하지만 강 대표는 "전 정권에서 법적으로 규정된 10일간의 청문 절차까지 무시하고 하루 만에 철수를 강행, 기업들에게 돌이킬 수 없는 피해를 안겼다"며 "납품업체로부터 소송에 휘말리는 등 힘겨운 상황에 놓여있는 기업들을 생각해야 한다"고 호소했다.

조속한 재개에 앞서 대북문제 해결을 지적하는 기업 대표도 있었다. 인천의 한 개성공단 피해 입주기업 대표는 "개성공단 폐쇄로 기업들이 입은 피해는 말로 다 설명하기 어렵고 하루빨리 개성공단이 재가동되기를 바라는 마음"이라면서도 "북한의 태도와 관련해 냉정하게 짚을 건 짚고 넘어가야 하지 않겠느냐"고 지적했다.

/최규원·임승재기자 mirzstar@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