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번 대회에서 인천 선수단의 금메달은 줄었지만, 동메달은 늘었다. 또한 개인종목과 단체종목 모두 토너먼트에서 상당수의 선수(팀)들이 1회전을 통과하는 등 선수단 전체적 역량이 높아졌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최근 들어 소년체전의 현재와 같은 메달 레이스는 지양돼야 한다는 주장이 대두되고 있다. 어린 선수들에게 승패의 중압감을 안기지 말아야 한다는 취지에서다. 하지만 대회 형태가 변경되더라도 스포츠의 특성상 승자와 패자는 엄연히 존재할 것이다. 또한 엘리트 체육과 생활체육을 망라한 지역 스포츠의 양·질적 발전을 위해서 기초 종목은 육성되어야 한다.
올해 소년체전에서 금메달이 가장 많이 걸린 육상(49개)과 수영(82개)에서 획득한 금메달은 각각 0개와 9개였다. 육상의 경우 스포츠 꿈나무들이 인기 있는 일부 종목으로 몰리면서 선수 저변이 약화됐고 수영은 학교 체육 시스템이 아닌 특정 지도자를 중심으로 한 스포츠센터에서 기량을 연마한 선수들이 상위권에 이름을 올리고 있다. 수영 종목에서 수년간 메달을 독식한 서울 선수단의 성적이 이 같은 추세에서 기인했으며, 올해 예년에 비해 좋은 성적을 낸 인천수영도 마찬가지다.
수년 전 인천시교육청은 기초 종목의 성적을 끌어올리기 위해 지역 학생체육 시스템 재편 방안을 구상할 것이라고 했다. 지역 교육지원청별로 나눈 특성화 종목 집중 육성과 함께 지도자들의 전문성 향상을 유지하면서 학교 위주의 학생체육의 틀을 탄력있게 조절하겠다는 것이다. 이 방안이 실현되기를 기대한다. 인천체육의 미래가 달렸다.
/김영준 인천본사 문화체육부 차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