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실물가지수 4년만에 '최고' 폭등
긴급예산 효과 미미 경기침체 예측도
하수처리 거친 물, 농·공업용수화
외국선 음용도 해 '유용한 수자원'
정부·지자체 타개책 있는데 무관심
적은 강수량과 폭염이 연례 행사가 되면서 가뭄으로 인한 물부족 피해가 농가·공장을 넘어 국민의 실생활에까지 엄습하고 있다.
특히 물가 상승으로 인해 소비 심리까지 위축돼 경기침체에 대한 불안감도 커지고 있다. 정부와 지자체는 긴급 예산을 투입하는 등 대책을 세우고 실행에 나섰지만, 사실상 '깨진 독에 물 붓기'식 대책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평가다.
■물 부족으로 인한 물가 상승, 경기침체로 이어지나
통계청이 발표한 과실물가지수가 4년 만에 최고 수준으로 치솟았다. 지난달 과실물가지수는 118.15로 2013년 5월 이후 최고치를 경신했다. 과실물가지수는 사과·배·귤 등 주요 과일 15개 품목에 대해 2015년 가격을 100으로 놓고 현재 가격과 비교해 값을 산출한다.
오는 겨울 김장 비용 폭등도 예상된다. 지난해 고랭지 배추 산지인 강원도 삼척에 무더위가 지속돼 배추 출하량이 떨어지면서 가격이 평년보다 3배 이상 뛰었다.
올해에도 극심한 가뭄과 폭염이 이어짐에 따라 배추 출하량은 평년을 훨씬 밑돌 전망이다. 실제로 6월 수확하는 감자·오이·양파 등 밭작물 가격은 50% 가량 뛰었다. 지난 2014년부터 눈에 띄게 줄어든 강수량과 무더위로 작물 피해가 속출했기 때문이다.
정부와 지자체는 수백억원의 예산을 투입하고 있지만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실정이다. 특히 농산품 가격 상승으로 비롯된 물가 상승에 따른 경기침체(애그플레이션)가 현실화되는 것 아니냐는 예측도 나온다.
채광석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강수량 부족 등 자연재해 탓에 작물 생산이 감소하면서 가격 상승을 피할 수 없게 됐다"며 "결국 자연재해가 원인이기 때문에 이러한 변수와 상관없이 항구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기반정비사업을 추진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학계 "해법 있다. 문제는 당국의 의지"
수자원 고갈로 인한 피해가 시간이 지날수록 확대되고 있지만, 관계 당국이 내놓은 대책은 땜질식 처방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전문가들은 이미 물 부족을 타개할 대책을 가지고 있다고 설명한다. 특히 하수처리수의 재이용은 '즉시 투입 전력'이라는 데 대해 공통된 의견을 내고 있다.
하수처리를 거친 물은 대부분 농·공업용수 기준을 충족하고, 해외의 경우 아예 음용수로 사용할 정도로 유용한 수자원으로 평가받고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하수처리수의 재이용률은 전국 평균 14.7%에 불과하고 경기도의 경우 이보다도 적은 13.6%다. 이마저도 대부분 하천 유지용수로 사용되고 농·공업용수로 사용되는 비율은 0.7% 수준이다.
오염물질을 최소화하는 저영향개발(LID)의 일환으로 빗물재이용시설 확충과 중수도 의무 설치, 지하수의 체계적 관리 등도 효과적인 수자원 관리 대책으로 꼽히고 있다.
조영무 경기연구원 생태환경연구실 연구위원은 "싱가포르 등 해외에서는 하수처리 재이용수를 음용수로 시판하기도 했다"며 "정부와 지자체 등 관계 당국이 의지를 갖고 수자원 확보 및 관리를 위한 정확한 정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밝혔다.
/전시언기자 cool@kyeongin.com
[수자원 고갈, 해법은 있다·1]애그플레이션 현실화 우려까지… 학계 대안·의견은
수백억 땜질식 처방 '헛水고'… 하수처리수 재이용 '의지문제'
입력 2017-06-21 23:00
수정 2017-06-21 23:00
지면 아이콘
지면
ⓘ
2017-06-22 3면
-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가
- 가
- 가
- 가
- 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