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통량 전국 17개 시도 7위
사고건수 광역시 2위 차지
기업-주민 신뢰·대화 바탕
위해성 알리고 의견 반영을
환경안전 분야 전문가들은 노후화된 산업단지나 화학물질을 취급하는 대규모 공장 등 각종 산업 위험 시설물에 인천시민이 노출된 현실을 직시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또 재난 예방과 사고 발생 시 신속·정확한 대처를 위해 지역사회 주체 간 정보 공유와 협력 등을 당부했다.
임영욱 연세대 의과대학 환경공해연구소 부소장은 27일 인천시와 인천상공회의소가 개최한 '제2회 안전거버넌스 구축을 위한 CEO 안전포럼'에서 "인천에 산업단지 등이 많다는 것은 그만큼 위험 요인이 생활권으로 유입될 가능성이 높다는 의미"라며 인천의 각종 대기오염 원인과 산업별 오염물질 배출량 등을 제시했다.
'국제도시를 위한 Risk Communication'이란 주제로 발표한 임 부소장은 특히 "인천은 시민 생활 주변에 산재한 위해 시설(산업단지 등)의 위험 정도를 확인할 그 어떠한 과학적 근거가 없고, 이런 이유로 시민의 위험 인식도 낮은 것이 현실"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Risk Communication은 사람들에게 화학물질의 위해성을 알리고, 피해에 대한 여러 정보와 의견을 수렴해 위해성 관리정책에 반영하는 이해 관계자 간 의사소통 과정을 의미한다"며 "전문가, 주민, 시민단체, 언론, 행정기관, 기업 등이 참여하는 위험관리 체계를 구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포럼에서 발표된 인천지역 유해화학물질 취급 현황을 보면, 30년 이상 노후화된 산업단지(남동, 부평, 기계단지 등) 등을 중심으로 인천 내 화학물질 유통량은 전국 17개 시·도 중 7위(2천596만1천t, 전국의 5.2%, 한강유역환경청 2014년 화학물질 통계조사) 규모에 해당한다.
최근 5년간 전국 화학사고 건수로는 울산에 이어 광역시 중 2위(20건 발생, 전국의 약 5%)를 차지했다.
마병철 전남대 교수는 '역동적 환경안전 거버넌스를 위한 발전방향'이란 주제발표에서 "대단위 산업단지가 조성된 인천에는 사고 발생 우려가 있는 화학공장 주변으로 각종 주거시설과 생활편의시설 등이 들어서 있다"며 "결국 화학공장과 주민 간의 갈등은 고조될 수밖에 없다"고 진단했다.
마 교수는 "성공적인 인천의 안전거버넌스를 위해 기업과 주민의 신뢰 쌓기와 원활한 대화가 바탕이 돼야 한다"며 "사업장과 지자체, 주민 대표 등의 신속하고 강인한 재난 대응 능력을 구축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문일(연세대 화공생명공학과 교수) 한국연구재단 국책연구본부장은 '4차 산업혁명과 안전환경'이란 주제발표를 통해 "안전보건은 선택이 아니라 기업 생존을 위한 경영의 핵심과제"라며 사업주의 안전경영 선포, 적정 예산 및 인력 지원, 주기적인 보고 및 확인, 교육 등을 권유했다.
이날 포럼에서는 인천을 안전한 도시로 만들어 나가기 위한 민관 협력의 거버넌스 구축을 기념하는 비전 선포식도 진행됐다.
인천상공회의소, 인천시, 한강유역환경청, 안전보건공단,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인천대, 인하대, 한국산업단지공단, 인천경영자총협회, 한국노총 인천지역본부, 인천안전생활실천시민연합, 인천녹색연합, SK인천석유화학, 희성금속(주) 등이 동참했다. 안전보건공단과 한강유역환경청 등에서도 지원정책 안내차 이 자리에 참여했다.
/임승재기자 isj@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