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국 대부분 지역에 폭염 특보가 내려진 가운데 경북 경주가 13일 오후 2시 36분께 39.7도까지 올라가는 등 전국에서 가장 높은 최고기온을 기록했다.
본격적인 여름에 들어가기도 전이지만 지난해 가장 더웠던 날(영천·8월 13일 39.6도)보다 수은주가 더 높이 올라간 것이다.
이날 오후 3시 현재 울산과 부산, 대구, 광주, 양산·합천 등 경남 9개 지역, 경주·포항 등 경북 17개 지역, 삼척평지·동해평지 등 강원 6개 지역에는 전날부터 폭염경보가 발효돼 있다.
제주도와 일부 해안 지역을 제외한 대부분 지역에는 폭염주의보가 내려져 있다.
폭염주의보는 하루 최고기온이 33도 이상, 폭염경보는 35도 이상인 상태가 각각 이틀 이상 지속할 것으로 예상될 때 발효된다.
경산(39.3도), 영천(38.9도), 포항(38.6도), 청도(37.9도), 영덕(37.1도), 강릉·밀양·창녕(이상 37.1도), 합천(36.4도), 부산(35.5도) 등 다른 지역도 35도를 훌쩍 넘기는 푹푹 찌는 날씨를 보였다.
기상청은 장맛비가 내리는 15~16일이 되어서야 폭염이 잠시 주춤할 것으로 예상했다.
본격적인 여름에 들어가기도 전이지만 지난해 가장 더웠던 날(영천·8월 13일 39.6도)보다 수은주가 더 높이 올라간 것이다.
이날 오후 3시 현재 울산과 부산, 대구, 광주, 양산·합천 등 경남 9개 지역, 경주·포항 등 경북 17개 지역, 삼척평지·동해평지 등 강원 6개 지역에는 전날부터 폭염경보가 발효돼 있다.
제주도와 일부 해안 지역을 제외한 대부분 지역에는 폭염주의보가 내려져 있다.
폭염주의보는 하루 최고기온이 33도 이상, 폭염경보는 35도 이상인 상태가 각각 이틀 이상 지속할 것으로 예상될 때 발효된다.
경산(39.3도), 영천(38.9도), 포항(38.6도), 청도(37.9도), 영덕(37.1도), 강릉·밀양·창녕(이상 37.1도), 합천(36.4도), 부산(35.5도) 등 다른 지역도 35도를 훌쩍 넘기는 푹푹 찌는 날씨를 보였다.
기상청은 장맛비가 내리는 15~16일이 되어서야 폭염이 잠시 주춤할 것으로 예상했다.
/김신태기자 sintae@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