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072301001507600073151
김명호 인천본사 정치부 차장
문재인 정부 출범 이후 남북 관계 개선에 물꼬를 트기 위한 노력이 이어지고 있다.

이산가족 상봉과 남북 군사회담을 우리 정부가 북측에 제안했고, 문재인 정부가 최근 발표한 '국정운영 5개년 계획'에는 한반도 비핵화를 전제로 한 남북 간 교류 협력 확대가 주요 전략으로 포함돼 있다.

특히 서해5도와 강화도를 포함해 한강 하구를 끼고 있는 인천은 지리적 위치상 이런 정부의 대북 정책에 큰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다. 5개년 계획에는 인천을 포함한 수도권, 개성공단, 평양·남포, 신의주를 연결하는 '서해안 경협벨트 건설'이 주요한 국정과제로 들어가 있다.

경인일보는 지난달 12일부터 이달 초까지 총 7차례에 걸쳐 '평화의 소 20년, 남북관계 돌파구를 찾자'는 제목의 기획보도를 했다. 북한 홍수로 떠내려왔다가 1997년 김포 유도(留島)에서 구사일생으로 구출된 '평화의 소' 사건을 다시 조명하고, 20년이 지난 지금까지 그 황소의 핏줄을 지키고 있는 농민들을 찾는 과정을 통해 사그라지던 남북 평화의 불씨를 다시 살려보자는 메시지를 전달하고자 했다.

지난 20년간 남북 관계는 그야말로 '롤러코스터'를 타듯 큰 부침을 겪었다. 정권의 성향에 따라 남북 관계는 냉·온탕을 넘나들며 예측 불가능한 상태로 빠져들었다.

이런 부침 속에서도 20년간 '평화의 소' 핏줄을 키워온 농민들은 하루빨리 남북 관계가 좋아져 자신들이 기른 황소 핏줄을 북으로 보내고 싶다는 간절한 소망을 가슴속에 품고 살았다고 말한다.

남북의 평화는 거창한 정치적 구호보다도 평범한 이들의 작은 소망이 더 귀한 '씨앗'이 될 수 있다. 평화의 소 핏줄이 20년을 지나 여태껏 남아 있게 만든 농민들의 그 평범한 소망이 크나큰 결실이 돼 돌아올 수도 있는 것이다.

문재인 정부 출범 이후 다시 이런 작은 불씨들을 되살릴 기회가 찾아왔다. 남과 북이 긴장과 대치를 끝내고 평화와 화합을 이룰 그 날은 준비 없이 단번에 오지 않으리라는 것을 우리 모두 알고 있다. 끊임없이 대화하고 우리가 먼저 손길을 내미는 가운데 '통일의 씨앗'은 움트기 마련이다.

/김명호 인천본사 정치부 차장 boq79@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