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월호 밖으로 나온 화물칸 잔해<YONHAP NO-2775>
31일 오전 세월호 수색 현장인 전남 목포신항 철재부두에 화물칸에서 빼낸 100여대의 차량이 놓여 있다. 세월호 현장 수습본부는 세월호 화물칸에 차량 185대, 컨테이너 105개, 소파 등 69가지 화물이 실린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연합뉴스

안산 합동분향소 하루 인파
4월 1천여명 → 최근 100여명
4·16장학재단 재정고갈 위기
'해양안전체험관' 건립 부진


세월호참사 미수습자들이 발견되지 않은 가운데 국민들의 관심은 멀어지고, 세월호 정책들은 지지부진한 상태다.

31일 경기도 등에 따르면 도내 곳곳에 설치된 희생자 분향소와 분향소를 방문하는 추모객은 감소하고 있다. 안산 화랑 유원지에 위치한 정부 합동분향소의 경우 세월호 참사 3주기였던 지난 4월 일평균 1천여명의 추모객이 방문했지만, 최근에는 평균 100여명으로 줄었다.

안산시청과 안산교육지원청 등의 도내 일부 공공기관의 경우 희생자 분향소를 아예 없앴다. 세월호 사고와 관련한 장학사업을 벌이고 있는 4.16 장학재단에도 지난 2015년 설립 당시 8억원이 넘는 기부금이 들어왔으나, 지난해에는 2억 7천만원으로 급격히 줄었다.

장학재단 관계자는 "한 해에 2억 원이 넘는 장학금을 지원하는 상황에서 이런 식으로 기부금이 줄어든다면 재정은 곧 바닥을 드러낼 것"이라고 말했다.

이처럼 세월호에 대한 국민들의 관심이 줄어들자 세월호 관련 사업 또한 난항을 겪고 있다.

실제 정부와 도에서 2019년 말 완공을 목표로 하는 '해양안전체험관' 같은 경우 400억원 예산만 편성됐을 뿐 구체적인 설계가 이뤄지지 않은 상태다.

특히 이 사업은 운영비 부담 주체도 정해지지 않아 정부와 도 사이에 갈등을 겪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주도로 설립 예정 중인 4·16기억공원(희생자 봉안시설설치 등)도 상황은 마찬가지다. 인근 주민의 반발에 의해 부지 선정이 이뤄지지 않아 설립 계획이 수포로 돌아간것.

세월호 미수습자 가족인 권오복(63)씨는 "이미 집까지 팔고 생계 수단이 없어 생활고를 겪은 지 오래"라며 "정부와 국민이 우릴 잊지 않아 줬으면 좋겠다"고 토로했다.

/박연신기자 julie@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