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중 사람들의 입에 오르락내리락 하는 법인들은 대샵청과(주)와 안양청과(주)로, 시는 도매시장 침체 원인으로 이들 법인 2곳을 지목한 상태이다.
시는 이들 법인들이 소속 중도매인들에게 제때 물건을 대주지 않거나 농산물 출하대금 등을 미지급하는 등 법인의 역할을 정상적으로 수행하지 못하고 있다고 보고 문제가 된 각 법인들을 불러 법인 회생 방안 마련을 주문했다.
이에 법인들은 농산물 출하대금 미지급금 해결을 위한 운영자금 확보와 함께 기존 경영진을 전면 교체 하는 경영 정상화 노력을 기울였다.
하지만 시는 이들 법인들의 노력에 신빙성이 없다고 판단하고 급기야 문제가 된 법인 중 한 곳인 대샵에 대해 지난 7월 법인 지정 취소란 강경 카드를 꺼내들었다. 나머지 법인인 안양청과는 오는 11월 법인 지정 취소 및 유지가 결정 난다.
대샵 법인 지정 취소 발표 당시 시 관계자는 "더 이상 농산물 출하자의 피해를 묵과할 수 없다고 판단해 이와 같은 결정을 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그러자 일부 시의원들은 즉각 환영의 입장을 밝히며 시의 이 같은 결정에 힘을 실어줬다.
이문수 시의원은 "지금에서라도 도매시장 침체 원인으로 지목된 법인들에 대해 시가 강경한 입장을 취한 점은 환영할 만한 일(?)이다"며 "이 기회를 통해 그동안 침체된 도매시장의 재 도약에 힘써야 한다"고 말했다.
하지만 장밋빛 청사진이 예고되던 도매시장에 갑자기 먹구름이 드리우기 시작했다. 시가 예상치 못한 중도매인 및 상인들이 시를 향해 불만의 목소리를 터트리고 있기 때문이다. 시는 문제가 된 법인을 정리하고 신규 법인을 뽑아 소속 중도매인들의 자리(?)를 이동시킨다면 중도매인들의 피해가 없을 것으로 예상했다. 이에 대한 연장선 개념으로 시는 우선 법인 지정이 취소된 대샵의 중도매인들을 안양원예농협으로 흡수 하는 방안을 추진했다. 그러나 현재 대샵 중도매인들 90% 이상은 안양원예농협에서 경매 물품을 지원 받거나 이동하기를 반대하고 있다.
자리 이동에 따른 판로 상실과 현 법인과의 유대에 따른 물품 보급 우려 등이 발생할 경우 그동안 쌓아 올린 공든 탑이 와르르 무너질 수 있는 점을 우려하고 있기 때문이다.
대샵 소속 중도매인들은 지금도 시를 향해 외치고 있다. 흐르는 물을 멈춰 세울 수는 없지만 삶의 터전인 물에서 헤엄치고 있는 물고기들의 입장을 생각해 달라고.
/김종찬 지역사회부(안양) 차장 chani@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