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8부두는 무역항과 산업항 구실을 다하는 동안 주변으로부터 비난도 많이 받았다. 화물 하역과 운송 과정에서 발생하는 분진·소음·악취·교통난 때문이다. 그간 공로를 인정받지 못하고 떠나는 게 서운할 듯싶다. 하지만 이미 항만 기능을 상실한 데다, 부두 주변에 사는 주민들이 분진·소음 등의 피해를 겪어온 것 또한 사실이다. 어쨌든 수명이 다한 1·8부두는 새로운 공간으로 탄생해야 하는 시점에 와 있다.
그렇다면, 내항 1·8부두에 어떤 시설을 조성할 것인가. 이점이 우리의 고민이다. 초기에 검토됐던 문화·집회시설과 공원을 비롯해 다양한 시설이 얘기되고 있다. 일각에서는 주상복합을 짓자는 목소리도 나온다.
1·8부두는 항만시설에 막혀 있던 바다를 시민 품으로 돌려주자는 취지에서 재개발돼야 한다. 주상복합 등 주거·상업시설 중심의 재개발은 이르다. 주상복합 건립은 '굴러온 돌이 박힌 돌 뺀다'는 속담처럼 나머지 2~7부두의 수명을 단축하는 결과를 초래할 것이다. 가뜩이나 항만 관련 민원이 많은 상황에서, 내항 안에 주상복합을 지어야 하는지도 의문이다. 주상복합을 지을 곳이 그렇게 없단 말인가.
1·8부두 인근에 우뚝 서 있는 15층짜리 호텔은 내항 경관을 해친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1·8부두 내 주상복합은 내항 풍경을 가로막는 또 하나의 장벽이 될 것이다. 주상복합이 내항 경관을 해치는 것은 물론 그 건물에 사는 사람들이 내항 풍경을 독점하는 건 더더욱 반대다. 1·8부두에 주상복합을 짓는 일보다는, 항만 인근에 있는 아파트 단지를 송도 등 다른 지역으로 옮기는 게 우선돼야 한다. 주상복합은 내항 전체의 수명이 다한 후에 지어도 늦지 않다.
/목동훈 인천본사 경제부 차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