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하지만 이 때문에 사람들간의 마찰이 빚어진다. 자신을 잘 알기 때문에 함께 일을 하다 실패한 경우 나의 잘못을 인정하기 보다 다른 사람의 탓으로 돌리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하지만 자신의 잘못인 경우도 있지만 이를 인정하는 사람은 그리 많지 않다. 속으로 자신이 잘못을 인정했다고 하더라도 함께 일한 그 누군가가 조금만 더해줬으면 그리고 그 사람은 나를 알기 때문에 또는 그 일을 잘 알기 때문에 결코 실패하지 않았을 것이라고 생각을 한다.
얼마전 인터넷에서 소소한 감동을 주는 한편의 글을 봤다. '세이유(Seuil)'라는 내용의 글이었다.
세이유란 프랑스어로 경계·문턱이라는 뜻으로 도보여행을 통한 청소년 교화 프로그램으로 2000년부터 적극 활용되고 있다고 한다. 세이유 프로그램은 소년원에 수감 중인 15~18세 청소년들이 언어가 통하지 않는 다른 나라에서 3개월동안 하루 25㎞ 이상 총 2천㎞를 걸으면서 석방을 허가하는 프로그램이다. 이 프로그램을 성공적으로 마무리한 청소년들의 대부분은 다시 나쁜길로 빠지지 않는다는 연구결과도 있다.
국내에서도 이 프로그램에 영감을 받아 러시아에서 스페인까지 무려 4천17㎞를 걷고 그 여정에 대한 소감을 책으로 낸 작가도 있다. 그는 '사람들 사이 어딘가의 내 위치를 알아내는 게 아니라 나의 호흡을 찾아내는 것'이 바로 자신의 불안감을 해결하는 것 그것이 바로 자신이 찾은 문턱의 해답이라고 했다.
우리는 저마다 인생의 여정에서 몇 번의 힘든 여정을 맞이한다. 많은 사람들은 이 여정을 경험하면서 괴로워하고 자신의 한계를 탓하기도 한다. 하지만 혼자만의 일이 아닌 경우 남의 탓을 하는 경우가 많다. 나 자신을 조금더 알고 믿는다면 실패를 과감하게 인정하고 다시 도전하면 된다. 모든 사람들이 세이유를 경험할 수 없지만 자신을 알아가는 과정은 자신이 더 잘 알고 있다.
한계라는 것은 극복하기 위해 존재하는 것이며, 다른 사람의 잘못은 틀린 것이 아니라 다른 것일 수도 있다는 점을 인정하자. 그러면 나의 삶이 타인의 잘못으로 인해 힘들어지지 않을 것이다. 나를 알아가는 시간, 우리에게 나만의 '세이유'를 찾아보자! 그러면 삶의 상당한 괴로움이 사라질 것이다.
/최규원 경제부 차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