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는 재범률을 낮추기 위해 교정·한국법무보호복지공단·보호관찰의 형사정책제도를 마련하고 여러 가지 프로그램을 운영, 범죄자의 출소 후 재사회화 및 건전한 사회복귀를 위한 노력을 하고 있다.
교정에서는 수형자들을 단순히 형벌적 수감을 하는 것이 아니라 각 교도소에 직업훈련시설을 설치하고 이들이 기술교육을 받고 자격을 취득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한국법무보호복지공단은 출소자들에게 숙식제공을 비롯한 직업훈련, 취·창업, 주거, 원호지원, 심리 상담까지 무료로 제공하고 있다. 실제로 전체 출소자의 22%가 재범률을 보이고 있는 반면, 갱생보호서비스를 이용한 출소자는 재범률이 남성은 5%, 여성은 1% 미만에 그치고 있다.
보호관찰소에서는 집행유예나 가석방자들을 대상으로 각종 교육 및 정기적인 관리 감독을 주 업무로 수행하며, 봉사자들의 도움으로 기소유예 및 보호관찰 중인 소년범들을 대상으로 생활지도 및 선도, 원호지원 등의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이처럼 교정·법무보호복지공단·보호관찰·자원봉사자는 각 영역에서 출소자의 재범을 방지하고 안전망을 구축하려는 부단한 노력을 하고 있다. 이러한 다각적인 노력에도 불구하고 재범률이 현저하게 낮아지지 않는 이유가 무엇인가에 대해 심각하게 고려할 필요가 있다. 현재 각 기관은 본인의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고 있으나 전문기관 전체의 체계적인 협업시스템의 부족을 지적하고자 한다.
협업시스템 구축의 필요성을 강조하는 좋은 예로 2011년부터 교정기관과 한국법무보호복지공단이 출소자의 취업 활성화를 위해 협업 실시하고 있는'허그일자리프로그램'을 들 수 있다. 이 프로그램은 전체 4단계로 구성되어 1단계는 교정기관에서 수형생활을 하는 참여자를 대상으로 법무보호공단의 취업전담직원인 직업상담사들이 취업준비 상담을 하고, 출소 후 공단을 방문하여 2단계 직업훈련, 3단계의 취업, 4단계 사후관리 과정을 통하여 자생력을 키우고 생활안정을 도모하는 프로그램으로 취업에 성공한 출소자의 재범률이 1.2%라는 점에서 그 효과성을 입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효과성으로 볼 때 출소자의 재범방지를 위한 형사정책은 현재 각자의 영역에서 그들만의 제도를 중시하는 일방적 관점이 아닌 유사제도는 과감히 정비하고 일원화하여 교정시설 입소부터 출소 후까지 일체의 의무적 지원 및 관리체계를 구축, 전문기관들의 상호교류와 협업이 반드시 필요하다.
/서성국 한국법무보호복지공단 여성기술원 취업위원회 고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