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청이 발표한 '2016 일·가정 양립지표' 결과를 보면 맞벌이 가구에서 남편의 가사노동 시간은 하루 40분으로 아내에 비해 거의 5분의 1 수준밖에 안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10년 사이 맞벌이 부부 비율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지만 가사노동 불균형은 좀처럼 좁혀지지 않고 있으며, 이는 우리 사회에 성 불평등 구조가 얼마나 뿌리 깊게 박혀 있는지를 보여주는 지표라고 할 수 있다.
성 불평등 문제는 단순히 개인적 보상 관점으로 보아서는 안 되며, 국가의 미래 경쟁력을 좌우하는 사회 문제로 접근해야만 한다. 생산활동 가능 여성들이 가사나 육아로 인해 경제활동을 포기함으로써 국가적 소득 손실이 발생함은 물론, 특히 여성의 일방적 헌신을 강요하는 가사·돌봄 노동 구조 속에서 젊은 세대를 중심으로 결혼과 임신, 출산을 포기하는 현상이 심화되면서 심각한 저출산 문제가 가중되고 있다.
우리 시는 이러한 성 불평등 문제를 완화하기 위해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정책을 수립·시행하는 과정에서부터 성평등 실현을 이루기 위해 각종 조례·계획·사업을 대상으로 성별 특성과 사회적·경제적 격차 등을 분석, 개선하는 성별영향분석평가를 확대하고 있다. 아울러 양성의 의견이 시정에 균형 있게 반영될 수 있도록 여성 전문인재를 지속 발굴하여 각종 위원회 여성위원 위촉률을 40%까지 달성하는 데 노력하는 한편, 공직자의 양성평등 인식 제고를 위한 성인지 교육도 강화하고 있다.
또한 일자리를 원하는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를 지원하기 위해 8개소의 여성새로일하기센터를 중심으로 취업연계, 맞춤형 직업교육을 강화하고 있으며, 가족친화기업을 적극 발굴, 육성하고 여성근로자를 위한 환경개선을 지원하는 등 일·가정 양립 사회분위기를 확산하고 있다. 저출산 극복을 위한 장기적 대책 마련을 위해 올해 저출산 고령사회 기본계획 수립을 추진하고 있으며, 임신·출산축하 물품 지원, 산모·신생아 건강관리사 파견 등 체계적인 출산 지원을 확대함은 물론, 공공어린이집도 지속적으로 늘려나가고 있다.
하지만 근본적으로 실질적 양성평등이 실현되기 위해서는 제도와 정책 강화는 물론, 가정을 비롯한 학교, 직장, 미디어, 온라인 등 사회 전반에서 여성과 남성이 동등한 기회와 책임을 영위할 수 있는 문화가 정착돼야만 한다. 여성 비하와 혐오, 성범죄나 가정폭력과 같은 젠더 폭력 역시 남녀 사이에 고착돼 있는 그릇된 위계관계의 개선 없이는 해결될 수 없다. 이러한 왜곡의 틀을 벗어나지 못하면 미래 사회의 경쟁력은 점점 뒤떨어질 것이 자명하다. 가정 내 가사, 육아 분담 등 154분의 가사노동 불균형 간극을 좁히는 작은 실천이 이루어질 때 양성이 서로 존중하고 함께 발전할 수 있는 사회 문화가 확산될 것이다.
/김명자 인천시 여성가족국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