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091001000584000027341
김명호 인천본사 정치부 차장
문재인 정부 출범 이후 남북 관계에도 변화가 올 것이란 기대와 희망이 절망으로 바뀌고 있다.

북한의 탄도미사일 도발로 한반도 긴장관계가 서서히 나빠지기 시작하더니 최근 6차 핵실험을 감행하며 남북 관계가 최악의 상황으로 치닫고 있다.

한반도에 전술핵을 배치해야 한다는 최악의 시나리오까지 거론되면서 남북 관계가 개선될 기미는 좀처럼 보이지 않는다.

한반도의 '화약고'라 불리는 서해5도를 비롯해 강화도를 끼고 있는 인천은 한반도의 정세에 가장 민감한 도시 중 한 곳이다. 특히 지난 2010년 북한의 연평도 포격과 천안함 사건을 지척에서 바라본 인천시민들은 이런 북한의 도발에 다른 도시 시민들보다 더 긴장할 수밖에 없다.

그동안 남북 관계는 '롤러코스터'를 타듯 계속된 부침을 겪어왔다.

2000년 6·15 남북 정상회담 이후 그해 남북적십자회담, 남북장관급회담, 이산가족 상봉 행사가 진행됐다. 2002년에는 제2연평해전이 발발한 상황에서도 남북통일 축구대회와 경의선~동해선 철도 연결 착공식이 열려 화해 기조를 이어갔다.

2008년 초반까지 화해 분위기가 계속 됐지만 그해 7월 11일 금강산 관광객이 북한군의 총격으로 사망하는 사건이 발생하면서 남북 교류의 가장 큰 성과물 중 하나였던 금강산 관광이 파국을 맞았고 2010년 천안함 사건·연평도 포격, 2013년 북한 3차 핵실험, 2016년 4차 핵실험 등이 이어지면서 남북 관계는 또 수렁으로 빠져들었다.

6차 핵실험 이후 당분간 북한에 대한 제재, 압박의 수위가 최고 수준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문제는 이런 분위기 속에서도 우리 정부와 국제사회가 북한에 대한 대화의 끈을 놓아 버려서는 안된다는 것이다.

지금까지 제재, 압박을 수단으로 통일을 이룬 나라는 없다. 남북이 무력 충돌로 인한 파국을 원하지 않는다면 최악의 상황 속에서도 '비상구' 하나쯤은 남겨둬야 한다.

어둠이 깊을수록 새벽은 가까이에 있다. 위기의 절정에 극적 반전이 존재한다.

/김명호 인천본사 정치부 차장 boq79@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