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청년상인현황과 정책과제 토론회12
13일 오후 인천 부평아트센터 커뮤니티홀에서 열린 '인천 청년상인 현황과 정책과제, 인천 청년상인 살길을 찾다' 토론회에서 전통시장 청년 창업 활성화 방안 등을 토론하고 있다. /조재현기자 jhc@kyeongin.com

기존상인 텃세·미숙한 상권분석
정착하기전 지자체 지원도 끊겨
철저한 교육으로 시행착오 줄여
자생 가능한 체계적 시스템 절실

"이러다간 청년 상인들, 다 망합니다."

신기항(36) 동구 청년상인 대표는 위기에 빠진 '전통시장 청년 창업' 현실에 대해 이렇게 말했다.

그는 지난해 4월 동구가 진행한 '동구밭 청년길' 사업자로 선정돼 동인천 중앙시장에 입점한 청년 상인이다. 그와 같이 입점한 10팀은 청년 매장의 성공으로 중앙시장이 활성화를 이끌어 나가겠다는 꿈을 꾸었다.

하지만 동구의 재정적 지원이 끊기자 10팀 중 6팀은 경영난을 이기지 못하고 시장을 떠났다. 시장을 활성화해 사람을 끌어모으겠다며 추진한 행사는 기존 상인들의 반대에 부딪혀 시작조차 못 했다. 물론 청년 상인들의 실수도 컸다. 지역 상권을 제대로 분석하지 않고 유행을 좇아 만든 점포는 고객들로부터 외면을 받을 수밖에 없었다.

신 대표는 "중앙시장은 단순히 동인천역을 가기 위해 지나는 사람이 많은 곳인데 '패브릭 공방', '한지 공예' 판매점, '스피치 카페' 등은 이들을 사로잡을 아이템이 아니었다"며 "지자체에서는 구청장이 개업 행사에 참석할 정도로 열정을 보였지만, 지원 종료 후에는 전혀 관심을 보이지 않는다"고 푸념했다.

13일 인천 부평아트센터에서 열린 '인천 청년상인 현황과 정책과제, 인천 청년상인 살길을 찾다' 토론회에는 신 대표처럼 전통시장에서 창업해 좌절을 경험한 청년 상인들이 모였다.

인천 각 지자체에서는 쇠락한 전통시장에 활력을 불어넣기 위해 청년 창업가들에게 초기 임대료와 마케팅 비용을 지원하는 '전통시장 청년 창업' 사업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인천에는 지난 2014년 부평시장 로터리 지하상가를 시작으로 7곳에서 청년 창업 사업이 진행됐다.

그러나 강화중앙시장 '개벽233 청년몰'을 제외하면 성공적인 정착이 이뤄지지 않고 있다. 장사 경험이 없는 청년 상인들은 유동 인구가 없는 시장에서 갈팡질팡하기 일쑤고, 사업이 자리 잡기도 전에 지원이 끊겨 어려움을 겪기 때문이다.

이날 토론회에서 신 대표는 "우리와 같은 피해자를 더 만들지 않기 위해서는 창업을 하기 전에 실제 청년 상인 점포에서 철저한 교육을 받아야 한다"며 "이를 바탕으로 겪게 될 시행착오를 줄여나가야만 1년이라는 짧은 시간 안에 정착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날 토론회에 참석한 장은주(34·여) 부평청년상인 대표는 "빈약한 상권을 살릴 청년들을 모집하면서 지자체에서는 지원을 제대로 해주지 않는다"고 꼬집었다.

장 대표는 "청년 상인들은 지역 경제를 활성화하기 위해 전통시장에 문을 연 것이 아니라 점포를 바탕으로 자신의 꿈을 펼치기 위해 입점한 것"이라며 "청년 상인은 지역 경제를 활성화하는 만능 키(Key)가 아니다. 이들이 자생할 수 있는 체계적인 시스템을 만드는 것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김주엽기자 kjy86@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