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만이상 지자체만 설립가능"
市, 감사원 지적에 올 1월 해산
연말까지 관련조례 폐지 매듭
"'부실딱지' 김포대 관학협력
애초 무리수" 내부 비아냥도
과거 부실대학이었던 김포대학교(총장·이돈희)에서 운영을 맡았던 김포발전연구소(이하 김발연)가 역사 속으로 사라지게 됐다.
김포시의 정책연구기관 역할을 수행하기에는 애초 함량 미달이었다는 비아냥이 시 내부에서 나오고 있다.
14일 김포시는 올해 초 김발연 해산에 따라 설치 및 운영에 관한 조례 폐지를 위해 입법예고 절차를 밟고 있다고 밝혔다.
시에 따르면 김발연은 지난 1998년 시와 김포대학이 절반씩 출자해 설립됐다. 시는 사립 전문대학인 김포대가 지역 내 유일한 대학이었기 때문에 관·학 협력에 의미를 두고 정책연구를 맡기려 했다.
하지만 김발연은 설립 이래 뚜렷한 성과를 내지 못했고, 급기야 2011년 시의회에서 보조금이 삭감됐다. 당시 시의회에서는 김발연의 일부 마을·시설 명칭 부여 용역에 2천만원이나 투입된 점, 관련학과조차 존재하지 않는 분야의 연구를 수행한 점, 극소수 연구인력으로 운영되는 점 등 김발연에 회의적인 발언이 쏟아졌다.
특히 2011년 9월 김포대는 학자금 대출제한 대학으로 지정되고 같은 해 말 대학구조개혁평가에서 부실대학에 이름을 올렸다. 이듬해에도 대출제한의 멍에를 쓰며 '최소대출'그룹으로 분류됐으며, 학교 경영권을 놓고 설립자 가족 간 끊임없이 다툼이 벌어지는 등의 불안한 모습으로 시의 신뢰를 잃어갔다.
시의 한 간부는 "당시 이런 학교에 정책 연구하라고 예산을 지원해줘야 하느냐는 분위기가 있었다"고 전했다. 김발연은 보조금이 삭감된 2011년 이후 시의 정책에 마땅한 도움을 주지 못했다.
그러던 2014년 감사원은 김발연을 인구 100만명 이상 지자체에만 설립할 수 있는 유사 공공연구원이라 지적했고, 올해 1월 해산했다. 시는 연말까지 조례를 폐지해 해산 절차를 마무리할 계획이다.
시 관계자는 "개교 2년여밖에 안 된 학교에 정책연구를 일임한 자체가 무리수였다"고 말했다. 또 다른 관계자는 "관학협력의 대표적인 실패사례로 남을 것"이라고 했다.
김포/김우성기자 wskim@kyeongin.com
성과없는 김포발전연구소 문 닫는다
입력 2017-09-14 21:03
수정 2017-09-14 21:03
지면 아이콘
지면
ⓘ
2017-09-15 17면
-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가
- 가
- 가
- 가
- 가
-
투표진행중 2024-11-18 종료
경기도는 김동연 경기도지사의 역점사업이자 도민들의 관심이 집중돼 온 경기국제공항 건설 후보지를 '화성시·평택시·이천시'로 발표했습니다. 어디에 건설되길 바라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