엄청난 정보 관리 한계있지만 안보·사회질서
붕괴시킬수 있는 '가짜뉴스' 관리 철저히 해야

'정보전염병', '정보흑사병'으로 불리는 불확실한 정보로 인한 사회 혼란이 가중되고 있다. 인터넷, 휴대전화 진화로 세계인이 동시에 정보를 교환하고 의사를 전달할 수 있는 SNS가 발달하면서 전파속도가 더욱 빨라지고 파급력도 커지고 있다. 처음 악소문을 퍼뜨린 사람을 처벌한다고 해도 이미 퍼진 악소문은 막을 방법이 없다. 이런 악소문은 전달되는 과정에서 더욱 부풀려지고 확대 재생산되는 악순환의 특징을 갖고 있다. SNS를 활용한 여론 형성, 인터넷 민주주의라는 말이 생겨날 정도로 국경을 넘어 모든 지구인이 하나의 이슈에 다양한 의견과 정보를 내놓는 시대에 접어들었다. SNS상에서는 단순한 의견에서부터 최고 전문가 수준의 정보가 공유될 정도로 원하는 것을 '검색'만 하면 얻을 수 있다. 하지만 순기능에 비해 정보전염병으로 인한 피해는 단순하지가 않다. 에콰도르의 라디오 드라마 방송처럼 순식간에 사회적 문제를 일으킬 소지가 크기 때문이다. 이런 현상은 이미 경제, 정치, 안보 등 사회 각 분야에서 나타나기 시작했다.
요즘 정치, 경제, 사회, 문화 어느 분야 관계자들이나 가장 무서워하는 것이 SNS상의 '평판'이다. 정치인의 말실수, 기업 회장의 갑질, 대형 프랜차이즈의 잘못 조리된 음식으로 인한 질병 발생, 유명인의 사생활 등 어느 분야를 가릴 것 없이 SNS상에 민낯으로 드러나고 있다. 정치인 한 명, 기업 하나쯤 곤경에 처하게 하려면 인터넷에 악소문만 올리면 된다. 그다음에는 알아서 확대 재생산돼 급속도로 퍼진다. 우린 이미 2008년 배우 최진실씨가 루머에 시달리다 스스로 목숨을 끊은 일을 경험한 바 있다. 현재 검찰이 수사를 벌이고 있는 국정원 대선 개입 댓글 사건의 경우 인터넷상에서 소문의 사실 여부를 확인하지 않는 점을 악용한 사례다. 거기에 익명성, 정보전달의 신속성, 소문의 파급성이 더해져 거짓이 사실로 여겨지기도 했다. 지난 미국과 프랑스 대선에선 언론 보도인 것처럼 위장한 '가짜 뉴스'가 판을 치면서 혼란을 겪었다.
우리 정부는 최 씨 사망 이후 사이버모욕죄, 허위사실유포 등에 대한 처벌을 강화하고 있지만, 교묘하게 진화하는 허위정보에 대처하기 위한 검증시스템도 꾸준히 개발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선진국들은 이미 악성루머, 허위사실 유포 등 '정보전염병'에 대처하기 위해 최고위기관리자(CRO·Chief Risk Officer)를 만들고 별도의 대응팀을 꾸리고 있다. 기업 홍보를 넘어 자신들에 대한 평판에도 적극적으로 대처하고 관리하겠다는 것이다. 인터넷망을 통해 세계가 연결된 상황에서 엄청난 정보를 관리하는 것에는 분명 한계가 있다. 그렇다 하더라도 국가 안보와 사회질서를 무너뜨릴 수 있는 허위정보에 대한 관리는 절대 소홀해서는 안 된다.
/이진호 인천본사 사회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