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32~1270년 39년간 전시수도때 궁궐터 흔적 확인 등 본격 돌입
추정지역 시가지 조성 '강도 복원 프로젝트' 연계해야 탄력 전망


국립강화문화재연구소가 고려 도성 학술조사를 비롯한 강화지역 고려사 조명작업을 본격화한다.

문화재청 산하 국립강화문화재연구소는 오는 21일 강화군 강화읍 옛 강화도서관에 마련한 새 연구소 청사에서 개소식을 가질 예정이라고 19일 밝혔다.

올해 초 강화군 내의 임시 사무실에서 업무를 시작한 국립강화문화재연구소는 지난 6월 옛 강화도서관에 둥지를 틀었다.

강화문화재연구소는 개소식 이후 강화지역을 중심으로 한 고려 시대 유적연구에 본격적으로 돌입하기로 했다.

첫 과제는 39년간(1232~1270년) 고려의 전시(戰時)수도였던 시기 강화도에 조성한 궁궐터와 도성의 위치를 확인하는 '고려 도성 학술조사'다. 현재 강화읍 내 고려궁지에는 조선 때 관청 건물만 남아있고, 조선 시대의 유구(遺構)만 발견됐을 뿐이다.

강화가 고려의 수도였던 강도(江都) 시기의 유적은 위치조차 특정하지 못했다. 발굴조사가 주 업무인 강화문화재연구소는 우선 물리탐사와 지표조사 등 과학적 분석을 통해 고려 유적의 흔적을 찾아볼 방침이다.

하지만 고려의 궁궐터로 추정되는 강화읍 중심지역은 시가지가 조성돼 발굴조사가 어렵다. 인천시가 신도시 조성 후 강화읍에서 대대적인 발굴조사를 추진한다는 구상인 '강도 복원 프로젝트'와 연계해야 고려사 조명작업이 탄력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강화문화재연구소는 인천시의 강도 복원 프로젝트를 적극적으로 지원하면서 고려역사문화 복원·활용사업을 추진할 방침이다.

국립강화문화재연구소 관계자는 "발굴조사에 특화한 연구소 특성을 살려 고려 도성의 추정 범위를 좁혀나가겠다"며 "강화지역 고려사 조명과 관련한 인천시의 현안사업과 긴밀하게 연계하고 협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국립강화문화재연구소는 인천을 포함한 수도권 전 지역을 담당한다. 인천·경기·서울에 있는 지정문화재 2천761건(국가지정 1천500건, 시·도지정 1천261건)의 관리와 정비, 비지정 문화재 조사·연구기능을 맡는다.

강화지역 관련 사업 외에도 서울 '풍납동 토성'과 '경복궁' 발굴조사를 주요 사업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강화문화재연구소는 공식 개소를 기념해 이달 28일 강화읍 연구소에서 '수도권 문화유적 조사연구의 방향과 과제'를 주제로 한 학술대회를 개최할 예정이다. 올 11월에는 풍납토성 발굴 20주년 기념 학술대회도 계획하고 있다.

/박경호기자 pkhh@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