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은행 인천본부가 최근 펴낸 보고서를 보면, 인천 자동차산업 생산액은 2000년 3조2천억원에서 2012년 11조2천억원으로 증가했다가 그 이후 정체 국면에 들어갔다. 또 지역 내 부가가치 창출액 대비 비중도 2000년 6.4%, 2005년 11.7%, 2013년 17.4%로 확대됐다가 2014년 16.1%로 하락했다. 이 같은 결과는 2013년 말 한국지엠 자회사인 유럽 쉐보레 판매법인이 본사의 결정으로 유럽에서 철수한 것과 무관치 않다고 한다. 한국지엠이 유럽에 쉐보레 브랜드 차량의 90%를 수출해온 터였다. 결국, 말리부 등을 생산하는 한국지엠 인천 부평공장도 실적 부진을 겪게 됐다. 한국지엠은 지난해 말 누적적자가 2조원에 달하면서 올 상반기 자본잠식에 빠졌다.
현대, 기아차도 중국에서 판매가 급감하는 등 국내 완성차 업계가 일제히 부진을 겪고 있다. 진짜 심각한 것은 규모가 영세한 자동차부품 협력사들이 덩달아 위기를 맞았다는 데 있다. 인천에는 1천여 개의 크고 작은 자동차부품 업체가 있다. 하지만 정작 자동차부품 업계는 숨죽이고 있다. 괜한 소리를 해 원청업체 눈 밖에 났다간 일감을 빼앗길지도 모른다는 우려인 듯하다.
최근 인천에서는 인천상공회의소 등이 주도한 '인천자동차발전협의회'가 창립했다. 인천시 등 116개 기관·단체와 61개 기업이 동참하는 협의회는 완성차 업체와 상생, 자동차부품 산업 생존 등을 위한 다양한 사업을 펼칠 계획이다. 이 협의회가 말 못할 고충에 속앓이를 하는 자동차부품 업계를 보듬는 일부터 시작해 나가기를 기대해본다.
/임승재 인천본사 경제부 차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