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공항 정규직 전환' 국감장 핑퐁 공방
野 '협력사 갈등·졸속' 지적
與 "오랜 검토 거쳐" 맞대응
입력 2017-10-23 22:04
수정 2017-10-24 11:40
지면 아이콘
지면
ⓘ
2017-10-24 22면
-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가
- 가
- 가
- 가
- 가
인천국제공항공사가 추진하고 있는 '연내 비정규직 정규직 전환'이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국정감사의 뜨거운 화두로 떠올랐다.
23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회의실에서 열린 고용노동청 대상 국감에서 자유한국당 임이자 의원은 "연내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 작업을 위한 시간이 2달밖에 남지 않았는데, (우선적으로 이뤄져야 하는) 위탁계약 해지는 이뤄지지 않았다. 대책은 무엇이냐"고 물었다.
인천공항공사는 인천공항 60개 협력업체를 각각 접촉해 계약 해지를 수용할 경우 예상 이윤의 30%를 지급하겠다는 보상안을 제시했지만, 14개 업체(4개 업체는 연내 계약기간 종료)만 공항공사의 계약해지 요구를 받아들였다.
임 의원은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 자체에 반대하지 않는다. 다만 그 이면에 협력업체의 아픔이 있다"며 "2020년까지 계약 기간이 남아 있는 회사가 있는데, 이들에 대한 재산권 침해가 있을 수 있다. 서두르다 보면 공항공사가 소송비용을 부담해야 할 수도 있다"고 지적했다.
같은 당 신보라 의원과 바른정당 하태경 의원 등 야당 의원들은 인천공항공사가 지난 5월 12일 문재인 대통령 인천공항 방문에 맞춰 철저한 검토나 준비 없이 연내 정규직 전환 선언을 하면서 여러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고 꼬집었다.
반면, 더불어민주당 한정애 의원 등 여당 의원들은 인천공항공사가 오랜 기간 검토를 거친 것으로 안다고 맞섰다.
이와 관련해 정일영 사장은 "2012년부터 여러 차례 (정규직 전환과 관련한) 용역을 진행했고, 작년 1월 수화물 대란 사태, 밀입국 사태 등에 따라 비정규직 문제가 논의됐다"며 "(연내 정규직 전환 선언이 있기 전에도) 내부적으로 논의하는 등 충분히 검토했다"고 말했다.
/홍현기기자 hhk@kyeongin.com
23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회의실에서 열린 고용노동청 대상 국감에서 자유한국당 임이자 의원은 "연내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 작업을 위한 시간이 2달밖에 남지 않았는데, (우선적으로 이뤄져야 하는) 위탁계약 해지는 이뤄지지 않았다. 대책은 무엇이냐"고 물었다.
인천공항공사는 인천공항 60개 협력업체를 각각 접촉해 계약 해지를 수용할 경우 예상 이윤의 30%를 지급하겠다는 보상안을 제시했지만, 14개 업체(4개 업체는 연내 계약기간 종료)만 공항공사의 계약해지 요구를 받아들였다.
임 의원은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 자체에 반대하지 않는다. 다만 그 이면에 협력업체의 아픔이 있다"며 "2020년까지 계약 기간이 남아 있는 회사가 있는데, 이들에 대한 재산권 침해가 있을 수 있다. 서두르다 보면 공항공사가 소송비용을 부담해야 할 수도 있다"고 지적했다.
같은 당 신보라 의원과 바른정당 하태경 의원 등 야당 의원들은 인천공항공사가 지난 5월 12일 문재인 대통령 인천공항 방문에 맞춰 철저한 검토나 준비 없이 연내 정규직 전환 선언을 하면서 여러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고 꼬집었다.
반면, 더불어민주당 한정애 의원 등 여당 의원들은 인천공항공사가 오랜 기간 검토를 거친 것으로 안다고 맞섰다.
이와 관련해 정일영 사장은 "2012년부터 여러 차례 (정규직 전환과 관련한) 용역을 진행했고, 작년 1월 수화물 대란 사태, 밀입국 사태 등에 따라 비정규직 문제가 논의됐다"며 "(연내 정규직 전환 선언이 있기 전에도) 내부적으로 논의하는 등 충분히 검토했다"고 말했다.
/홍현기기자 hhk@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