숱한 일들이 일어나고 있다
하지만 정녕 중요한 것은
역시 한 사람이 나고 살고 가는것
몇 권 그의 책을 사들고
나오면서 다시 한번 생각했다
뭔가 허전하다 싶으면 헌책방을 찾게 된다. 어젯밤에는 더구나 박완서 수필집 보아둔 것을 꼭 사야 할 용무도 있었다.
지난번에 만오천 원이라 했었다. 다른 책도 제법 많이 산 데다 초판도 아닌 3판째 수필집이라 미루어 둔 책이었다. 서울에서도 마포 홍익대학교 근처, 그래도 이런 곳에 헌 책을 살 수 있는 곳이 있다는 게 다행이라면 다행이다.
가끔 싼 값에 좋은 책을 만나면 그보다 아기자기한 즐거움도 드물다. 옛날에, 청계천 근처 헌책방에서 오스카 와일드의 희곡 '살로메'를 일제 강점기에 한국어로 낸 문고판 책을 발견하고 얼마나 기뻤던가. 이런 경우를 요즘 세속 말로 '득템'이라 한다던가.
그러나, 사실, 요즘은 꼭 그렇게 기쁘다고만은 할 수 없다. 그 헌책 흥정이라는 것이, 요즘은 인터넷에서 경매가 벌어지고 인터넷 유통망을 통한 가격 비교가 언제든 할 수 있게 되면서 간단치만은 않게 되었다.
어쩌다 주인 모르는 책을 싸게 사게 되면 혹여 사람을 속여 넘긴 게 아닌가 찜찜하기 짝이 없다. 그렇다고, 인터넷 유통망으로 가격을 일일이 확인하고 헌책 값을 받을 대로 받으려는 주인님을 보면 어쩐지 얄밉게 느껴질 때도 있다.
이래저래, 귀한 책은 귀한 값 그대로는 못될망정 적당히 쳐주고 그렇지 않은 책은 이유까지 알려 드리며 제 가격대로 사는 게 마음 편하다.
왔다 간 게 불과 한 달 전쯤이었나? 그런데 그 짧은 사이에 헌책들이 꽤 좋은 것들이 진열되어 있는 것 같다. 누가 소장하고 있던 책들을 내놓은 것 같기도 하고.
이 업계에서는 '나까마'(なかま, 仲間)라고 한단다. 이 어원이 맞나 모르겠는데, 내놓아진 책을 싸게 사다 헌책방 같은 곳에 되파는 사람들을 가리키는 말이다. 중간 상인일텐데, 다들 아직까지 일본어로 그렇게들 부른다.
청계천 헌책방 같은 데 서서 그분들 이야기 나누는 것 보면, 좋은 책 나오려면 꼭 어느 분이 돌아가시든가 해야 한다. 책을 사랑해 수집하고 아껴 소장해온 사람이 어느덧 나이가 들어 병석에 들고 그 자손들이 그 무겁고 부피 나가는 것을 어떻게 할 수 없어 처분해야 하는 때가 오면 나카마 분들께는 대목 같은 것이 되는 것이다.
물론 이 나카마 장사를 잘 하려면 책 볼 줄 아는 눈이 있어야 한다. 일제 강점기에 나온 책이면 쇼와(昭和) 25년이 서기력으로 몇 년인지 정도는 알아야 하고, 해방 직후나 1950년대 책을 알아보려면 단기력에서 2333년을 빼야 서기력이 나온다는 것쯤도 알아야 한다.
뿐만 아니라 웬만한 작가나 시인 이름 정도도 그 존재는 알고 있어야 무게로 달아 나오는 헌 책에서 값이 되는 것을 뽑아낼 수 있다. '박노갑'이라면 그렇게 유명한 작가라고 할 수도 없지만 점점 책이 귀한 세상이 되고 보면 그런 작가 책도 가볍다고만 볼 수 없고, 더구나 그가 박완서 작가의 스승이기도 했다고 생각하면 한 번 더 무게를 두어야 한다.
박완서 수필집 3판 것을 오천 원을 깎아 주어 쉽게 사고난 후 새로 들어온 헌책들을 살펴보는데, 그 중에 '창작과비평' 1970년대 것들도 그런대로 깨끗한 게 뭉치로 있고, 김성동의 장편소설이며 수필집도 초판 나온 게 있다. 이런 책들은 요즘 쉽게 나오지를 않는 것이다.
어떤 분이 갖고 계시던 건가요?
단골 된 덕에 알아보는 주인께서, 모모한 사람인데, 이름은 알려줄 수 없고, 그런데 그분이 오래 아파서 어쩔 수 없이 내놓는 책들이라고, 당신 보기에도 마음이 편치 않았다 한다.
어느 한 분야에 오래 있다 보면 남들 잘 모르는 데까지 생각이 미치는 법도 있다. 생각이 짚이는 데가 있다. 하지만 그 이름을 발설하지 않는다. 그러면 더 마음이 편치 않아질 것 같아서다.
세상이 바뀌고 나서도 숱한 일들이 일어난다. 하지만 정녕 중요한 것은 역시 한 사람이 나고 살고 가는 것이라고, 헌책방을 몇 권 그의 책을 사들고 나오면서 다시 한 번 생각했다. 밤이 이미 많이 깊었다.
/방민호 문학평론가·서울대 국문과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