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북부 2차 테크노밸리 유치는 '양주'와 '구리·남양주' 등 2파전으로 압축됐다.
테크노밸리는 경기도가 추진 중인 첨단 산업단지 조성사업이다. 미래 성장을 이끌 IT(정보통신)·BT(바이오)·CT(문화)·NT(나노) 등 업종의 혁신 클러스터를 구축해 지역 별 자족기반을 마련하는 것이 목표다.
이에 남양주와 구리, 의정부, 양주 등 4개 지자체는 그동안 행정력을 총동원해 테크노밸리 유치에 심혈을 기울여왔다. 자족 기반이 취약한 지자체가 테크노밸리를 유치하면 단체장 치적 홍보는 물론 실질적으로 지역경제에 큰 도움이 되기 때문이다.
하지만 남양주시와 구리시가 테크노밸리 공동유치에 합의한데 이어 의정부시가 양주시를 지지하기로 선언하면서 경기북부 2차 테크노밸리 유치는 '양주'와 '구리·남양주'의 맞대결로 진행되게 됐다.
안병용 의정부시장과 이성호 양주시장은 6일 의정부시청 상황실에서 경기북부 테크노밸리 경원축 유치를 위한 공동선언문에 서명을 했다.
의정부시가 테크노밸리 유치를 전격 포기하고 양주시의 유치를 지지키로 한 것이다.
안 시장은 "유치경쟁이 치열해지고 있고 주변 여건과 상황이 변화하는 과정 속에서 대안이 필요했다"며 "힘을 하나로 모아 경원축 유치 가능성을 높이는 것이 우선"이라고 밝혔다.

의정부시는 양주역세권의 탁월한 경쟁력에 주목했다. 양주역세권에 테크노밸리가 유치되면 이에 대한 효과가 경기북부지역에 고르게 확산될 것이란 판단에서다.
특히 양주시가 후보지로 내세우고 있는 마전동 일대 55만㎡는 지난해 5월 그린벨트(개발제한구역)에서 해제된 지역. 이 곳에 테크노밸리를 유치한다면 내년 상반기에 즉시 착공이 가능하고 토지조성 원가와 분양가도 낮아 의정부보다 경쟁력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지난 1일에는 의정부, 양주, 포천, 동두천, 연천 등 5개 지자체가 참여하는 '경원축지역생활권협의회'가 의정부시에 협조를 요청하기도 했다.
의정부시는 이번 양보로 테크노밸리 후보지였던 녹양동 29만㎡에 의정부지법·지검 이전 등 새로운 도시개발 방안을 마련키로 했다.
반면 공동으로 테크노밸리 유치에 나선 구리시와 남양주시는 구리시 사노동 일대 21만9천여㎡와 인접한 남양주시 퇴계원 일대 7만2천여㎡를 사업 대상지로 정하고 구리도시공사와 남양주도시공동으로 49% 지분으로 참여해 도시개발사업을 진행키로 했다.
경기도는 이번 주에 현지 조사를 거쳐 오는 13일 공개 발표, 평가 후 경기북부 2차 테크노밸리 후보지를 선정할 방침이다.
/김신태기자 sintae@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