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업주 후손들 상속세로 '타격'
정부 지분 처분 오너경영 강화
HDPE 국내생산 24% 업계1위
하지만 유화업계 경쟁 격화로 1994년 법정관리를 신청한 이후 10여 년간 적대적 인수합병(M&A) 위협에 노출됐는데 배경은 다음과 같다.
1990년 이정림이 사망하자 그의 후손들은 상속세 명목으로 현금 대신 대한유화 지분 32.7%를 정부에 제공하면서 공동창업자 이정호가 최대주주로 부상했다. 정부는 보유한 대한유화공업 지분 32.7%의 매각을 여러 번 추진했다.
대한유화 오너가의 지분이 40% 수준이어서 타 업체가 정부 지분을 인수하고 우호지분을 확보하면 단숨에 경영권을 손에 쥘 수 있었다. 동부와 효성이 대한유화 지분을 대거 사들이며 적대적 M&A설에 불을 지핀 것도 이런 배경이었다. 대한유화가 1994년에 법정관리를 신청한 것도 오너일가 경영권 유지에 악재로 작용했다.
한 유화업계 관계자는 "1990년대 유화업계는 규모의 경제를 외치며 증설과 인수합병을 놓고 고민을 했다. 대한유화공업은 규모는 작지만 알짜 회사로 대기업들이 M&A 먹잇감으로 주로 노렸던 기업"이라고 밝혔다.
정부로부터 대한유화공사 지분을 넘겨받아 관리하던 한국자산관리공사(KAMCO)는 2007년 국민연금H&Q 사모펀드에 지분 21%를 매각했다. 2대 주주로 등극한 국민연금H&Q가 우호주주로 이정호 명예회장 체제에 힘을 실어주면서 적대적 M&A도 수면 밑으로 가라앉는 듯했다.
하지만 2010년 국민연금H&Q가 투자금 회수를 위해 대한유화 지분매각을 추진하자 또다시 경영권 문제가 불거졌다. 롯데케미칼을 비롯해 다양한 업체가 국민연금H&Q의 지분 인수를 추진하며 경영권을 호시탐탐 노렸기 때문이다. 부랴부랴 대한유화공업은 국민연금H&Q의 자사주 일부를 매입해 소각하면서 투자금 회수를 도왔다.
국민연금H&Q는 블록딜과 대한유화 자사주 매입으로 위기를 극복했다.
경영권을 오랜 기간 위협했던 정부 측 지분이 처리되자 오너가의 경영체제도 강화됐다. 유니펩과 KPIC코퍼레이션은 경영권 강화의 지렛대 역할을 했다. '경영권 트라우마'가 뇌리에 깊게 박힌 오너일가는 2000년대 이후 경영권을 다지는 작업을 이어왔다.
그 결과 이정림 명예회장의 조카이며 대한유화공업 오너인 이순규 대한유화공업 회장이 경영권을 확실히 장악했다. 이순규의 개인회사인 KPIC코퍼레이션과 유니펩은 그 토대가 됐다.
대한유화는 2010년 9월 기준 온산공장의 에틸렌 생산능력이 47만t으로 국내 총 생산 능력의 6%를 차지하고 있다. 프로필렌 생산능력은 35만t으로, 국내 총 생산 능력의 6%를 차지하고 있다.
고밀도폴리에틸렌(HDPE)의 생산능력은 2010년 6월 기준 53만t으로, 국내 총 생산의 24%로 업계 1위를 차지하고 있다. 계열사로는 유니펩(주), (주)케이피아이씨코퍼레이션, (주)코리아에어텍, ATMAN PTE.LTD. 등이 있다.
/이한구 경인일보 부설 한국재벌연구소 소장·수원대 명예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