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대병원
정부 관계자 24시간 경호… 살짝 열린 블라인드. 7일 저녁 북한 귀순병사 오청성(24)씨가 머물고 있는 수원 아주대병원 13층 특별병동 내 VIP실 내부. 자유를 찾아 사선을 넘어온 오청성씨를 보호하기 위해 정부 관계자가 해당 병실 안 응접실에서 24시간 경호를 하고 있다. 병실 안에서 밖을 바라볼 수 있는 창문은 거의 폐쇄됐지만 오씨에게 남한의 정취를 느낄 수 있도록 블라인드의 3분의1 가량을 열어 놓은 상태다. 밖과 안의 간극에는 긴장감이 감돌고 있다. /임열수기자 pplys@kyeongin.com

 

북한 귀순병사 오청성(24)씨의 건강상태가 호전되면서(11월 27일자 1면 보도) 앞으로 이뤄질 오씨의 남한 정착 과정에도 관심이 쏠리고 있다.

28일 통일부 등에 따르면 북한이탈주민(탈북민)은 '북한이탈주민의 보호 및 정착지원에 관한 법률'에 따라 북한이탈주민보호센터에서 조사를 받는다. 탈북한 오씨도 북한이탈주민보호센터에서 국가정보원을 중심으로 관계부처인 경찰청·국방부·기무사령부·통일부 등이 참여하는 합동신문을 받을 예정이다.

이 과정에서 탈북민은 북한에서의 행적과 귀순 경위 등을 조사받은 뒤 진성·위장탈북자 여부에 따라 보호를 받는다.

합동신문 기간은 정해지지 않았지만 최근 통일부에서 이 기간을 최대 180일에서 90일로 줄이는 내용으로 입법예고를 한 상황이다.

합동신문을 거친 보통의 남성 탈북민은 이후 강원도 화천에 위치한 제2하나원에서 재사회화 교육을 받는다. 이들의 신병은 통일부 산하 하나원으로 이관된다.

탈북민은 12주, 총 420시간 동안 직업 훈련, 사회 이해증진 교육 등을 통해 문화적 이질감 해소, 심리안정, 진로지도 상담을 위한 시간을 보내며 남한사회 적응을 위한 준비를 한다. 이후 남북하나재단 소속 각 지역 23곳에 배치돼 있는 하나센터에서 전담 상담사를 통해 지속적인 정착 지원을 받게 된다.

하지만 이례적인 탈북사례로 분류되는 오씨는 보통의 탈북민과 달리, 북한 고위급 인사인 태영호 전 영국주재 북한공사와 고 황장엽 전 노동당 비서 등과 같은 전철을 밟을 수도 있을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지난해 탈북한 태영호 전 공사의 경우, 하나원 대신 북한이탈주민보호센터에서 최장 6개월 동안 합동신문을 받았다.

오씨 역시 신변보호와 원만한 남한 사회의 복귀를 위해 국정원장의 보호 결정을 받을 가능성이 높다. 이 경우 오씨의 신병은 국정원으로 이관된다.

이와 관련 통일부 관계자는 "아직 오씨의 합동신문이 열리지 않은 만큼 추후 정착 과정과 관련해 결정된 사항이 없다"며 "합동신문 등 조사기간을 거쳐 지켜봐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박연신기자 julie@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