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예산난에 장애인 활동지원 중단' 잘 지적
'쪽방촌 어려운 겨울나기' 시기적절 보도
'블라인드 채용' 다양한 측면 기사화 요구
경인일보 10월 독자위원회가 지난 23일 경인일보 3층 소회의실에서 열렸다.
이날 회의에는 김준호(수원대 객원교수) 위원, 허성수(부천원미경찰서 생활안전과장) 위원, 홍문기(한세대 교수) 위원, 박은순(경기여성단체연합 정책위원장) 위원, 천진(민주노총경기도본부 수원용인화성지부 의장) 위원, 이을죽(미래사회발전연구원 이사) 위원이 참여했다. 경인일보에서는 김환기 사회부장이 나와 의견을 경청했다.
이번 독자위는 이전과 달리 공통 주제와 개별 주제로 나눠서 토론을 진행했다. 공통 주제는 10월 보도된 버스 준공영제 관련 기사로 정해졌다.
먼저 이을죽 위원은 "버스 준공영제 기사의 방향을 보면 경인일보는 찬성하는 논조를 보이고 있다. 특히 도에서 진행하는 버스 준공영제 추진 진행 사안을 주로 다뤘다"며 "버스 준공영제는 장단점이 동시에 존재하고 도와 지자체들의 입장이 분명한데 각 시·군별 반응 및 예산 확보 방향 등은 다루지 않는 등 취재에 다소 미흡한 부분을 보였다"고 지적했다.
박은순 위원도 "어느샌가 버스 준공영제 도입 여부의 쟁점과 초점이 남경필 도지사와 이재명 성남시장의 정치적 대결 구도로 번졌다"면서 "이 보도를 도민이 봤을 때 어땠을지, 버스 준공영제 도입 여부는 도민 복지의 문제인데 정치적 문제로 마냥 보도돼 아쉬웠다"고 덧붙였다.
허성수 위원은 "시시각각 관련된 보도는 많았지만 다소 정리되지 않아 이해하기 어려운 부분도 존재했다. 표나 그래픽이 첨부돼 경위가 정리됐다면 더 좋았을 것"이라고 말했다.
천진 위원은 "도는 앞서 버스 준공영제가 실시된 서울과 달리 도농복합지역이 존재해 같은 방식으로 도입될 경우 각종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서울은 버스 준공영제 실시 이후 민간 버스 운송사업자의 비리 등 정책을 악용한 사례가 쏟아지고 있다"며 "이를 답습하지 않기 위해 경인일보에서 문제점을 철저히 분석하고 방안을 제시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홍문기 위원도 "버스 준공영제에서 항상 이슈 되는 것은 예산 문제다. 예산 집행이 가능한가부터 도입된 이후 효율성을 담보할 수 있는지까지 내용이 담긴 기사가 꼭 필요한 시점이다"라고 덧붙였다.
김준호 위원은 "대중교통 문제는 장기적으로 다뤄야 한다. 특히 준공영제로 공동 운송의 개념으로 확대될 경우 주도 면밀해야 한다"며 "현재는 도가 가볍고 허술하게 진행하고 있는 것으로 보이는데 이를 지적하는 기사는 보도되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개별 주제 토론에서 허성수 위원은 27일 보도된 '주취자 폭행 인권경찰의 인권침해 논란' 기사와 관련, "피해를 주장하는 측의 입장에서만 보도된 듯한 느낌이 들었다. 첨부된 CCTV 영상을 보면 정당한 공무 집행으로도 볼 수 있는데 경찰 입장은 크게 관여되지 않아 아쉬웠다"고 평가했다.
박은순 위원은 "16일자 '예산난에 장애인 활동지원 중단 도미노' 기사를 보면 확대되는 복지 속에 내재된 사각지대 부분을 잘 짚었다"며 "장애인은 1대1 보조가 필요할 정도로 인력이 상당히 요구된다. 위탁업체에서 장애인들의 활동을 보조하지만 워낙 중노동에 직원들이 그만두기 일쑤고, 복지관도 수익을 따지는 구조가 아니라 운영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 때문에 국비 투입이 절실한데 점점 지자체로 떠밀고 있는 추세다. 장애인 지원 관련 국비 투입 이후 결국 지자체가 떠 안게 되는 부분을 지적하는 보도도 필요하다"고 말했다.
천진 위원도 "장애인뿐만 아니라 쪽방촌도 급격히 감소한 기부 등에 올해 겨울나기가 더 어려워졌는데, 17일자에 '빈곤 퇴치의 날 무색한 쪽방촌' 기사가 시기적절하게 보도됐다"며 "수원이나 성남 등 대도시보다 여주, 이천, 안성 등 도농복합지역에 소외 계층이 더욱 많다. 지자체가 이들을 위해 어떤 정책을 펼치고 있는지도 짚어주길 바란다"고 제안했다.
이을죽 위원은 11일자 '블라인드 채용 잘 될까?' 사설 관련 "블라인드 면접은 편견과 차별을 막고 실력으로 뽑자는 취지인데, 이를 가지고만 직무 능력을 평가하기엔 다소 어려움이 따른다는 게 기업들의 중론이고, 대기업도 30% 정도만 동참하고 있다"며 "사설에서는 블라인드 채용 성공 여부에 대해 물음표(?)를 달고 다뤘는데 기사 형식으로도 기업들이 블라인드 채용 도입에 반대 입장을 보이는 이유 등 정책의 장단점을 다뤘으면 한다"고 말했다.
/황준성기자 yayajoon@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