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토교통부가 보다 안전하고 명확한 도로 안내를 위해 '도로표지 개선방안'을 내년 말까지 마련하기로 했다.
국토부는 이와 관련 지속적으로 요구되고 있는 개선사항은 고속도로에서의 문화재·세계문화유산 등에 대한 표기, 일부 크기가 작은 글자에 대한 판독성 확보, 통일된 영문 표기 등이라고 밝혔다.
국토부는 이런 요구 사항에 대한 적용 범위 등을 결정하기 위해 '이용자 중심의 도로표지 개선' 연구용역을 추진, 개선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우선 관광지 관련 현황을 조사·분석하고 선진국 사례 등을 참조해 개선 범위를 면밀하게 검토, 문화재를 내·외국인들을 상대로 홍보할 수 있는 효율적인 방안을 모색하기로 했다. 또 고령자 등 운전자의 행동특성을 고려해 글씨 크기를 재설정하는 등 도로명 안내표지 글자규격에 대한 개선안을 마련키로 했다.
영문표기 방법이 명확히 정해지지 않거나 정해진 기준을 따르지 않고 있는 국내 주요 시설에 대한 영문표기 기준도 제시하고 정비할 방침이다.
국토교통부 관계자는 "연구 용역 과정에서 국민 공청회 등을 통해 의견을 지속적으로 수렴하고, 내년 말까지 개선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국토부는 이와 관련 지속적으로 요구되고 있는 개선사항은 고속도로에서의 문화재·세계문화유산 등에 대한 표기, 일부 크기가 작은 글자에 대한 판독성 확보, 통일된 영문 표기 등이라고 밝혔다.
국토부는 이런 요구 사항에 대한 적용 범위 등을 결정하기 위해 '이용자 중심의 도로표지 개선' 연구용역을 추진, 개선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우선 관광지 관련 현황을 조사·분석하고 선진국 사례 등을 참조해 개선 범위를 면밀하게 검토, 문화재를 내·외국인들을 상대로 홍보할 수 있는 효율적인 방안을 모색하기로 했다. 또 고령자 등 운전자의 행동특성을 고려해 글씨 크기를 재설정하는 등 도로명 안내표지 글자규격에 대한 개선안을 마련키로 했다.
영문표기 방법이 명확히 정해지지 않거나 정해진 기준을 따르지 않고 있는 국내 주요 시설에 대한 영문표기 기준도 제시하고 정비할 방침이다.
국토교통부 관계자는 "연구 용역 과정에서 국민 공청회 등을 통해 의견을 지속적으로 수렴하고, 내년 말까지 개선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김신태기자 sintae@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