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거 교육기관과 기업의 단순 교류에 머물던 산학협력이 청년실업 시대에 일자리를 만드는 취업창구가 되면서 진화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최근 교육부가 발표한 취업통계에서 여실히 드러나고 있다.

이달 초 교육부는 '2016학년도 고등교육기관 졸업자 건강보험 및 국세 DB연계 취업통계'를 발표했다. 이 조사에서 5천500곳이 넘는 산학협약 기관을 보유한 경복대학교가 2천 명 이상 졸업생을 배출한 전문대(가 그룹) 중 취업률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대학은 2015년에도 같은 그룹에서 1위를 했다.

경복대의 2016학년도 졸업자 취업률은 76.3%로 10명 중 7~8명이 조기 취업하거나 졸업 후 1년 이내 직장을 구했다. 대학 관계자는 "취업자 상당수가 산학협약 기업의 계약 교육과정이나 현장실습 등을 통해 취업했다"고 설명했다.

취업과 연계한 산학협력사업은 여느 대학에서도 하고 있으나 이 대학은 100% 취업을 보장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이 취업보장형 산학협력은 기업에는 우수 인력을, 학생들에게는 일자리를 제공하며 고용시장의 불안요인인 '미스 매치(miss match)'를 해결하는 혁신적인 산학협력 모델로 평가받고 있다.

경복대는 이 진화한 산학협력사업을 지난 2012년 가장 먼저 시도해 현재 정착단계에 있다. 교내 모든 학과에 취업보장형 산학협력을 도입하는 게 목표다.

올해는 취업보장형에서 한 단계 진보한 '사회 맞춤형 산학협력' 사업을 시작했다. 교육부가 지원하는 이 사업을 통해 경복대는 취업의 질을 높이는 일을 추진하고 있다. 대학과 기업이 함께 사회 맞춤형 학과를 운영, 고급인력을 양성한다는 것이다. 이 산학협약에는 채용 직급과 보수 등이 명시돼 있다.

사회 맞춤형 교육과정을 마친 학생들은 졸업 후 약속된 직급과 보수를 보장받고 취업하게 된다. 고용이 불안정한 기업에서는 고급인력을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는 기회가 된다.

함도훈 취업처장은 "사회 맞춤형 학과는 기업이 학생 선발부터 취업까지 모든 과정에 주도적으로 참여하기 때문에 산학협력이 매우 능동적으로 이뤄진다"며 "앞으로 참여 기업과 협조해 지속적인 취업관리를 위해 체계적인 사후관리 시스템을 구축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포천/최재훈기자 cjh@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