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해5도 주민대피시설 예산 부활 큰 역할
학생창업 자신감 심어준 교수 인터뷰 신선
軍, CCTV 작전활용 문제점 안다뤄 아쉬움
경인일보 11월 지면을 평가하는 인천본사 독자위원회가 지난 13일 오전 경인일보 인천본사 회의실에서 열렸다.
이날 회의에는 김하운(함께하는 인천사람들 대표) 독자위원장과 윤미경(도서출판 다인아트 대표)·이도경(명품스피치교육원 원장) 독자위원이 참석했고, 도성훈(동암중학교 교장) 독자위원은 서면으로 의견을 보내왔다.
김하운 위원장은 거리 노숙인 비율이 전국에서 가장 높은 인천의 노숙인 실태를 점검하고 노숙인 문제의 체계적 관리 방안을 찾아본 기획인 <배회하는 노숙인(상·하 )>(7·8일 23면)이 눈길을 끌었다고 말했다.
김 위원장은 "지역 노숙인 시설이 예산 등의 이유로 주말과 야간 입소를 제한하고 있다는 점을 알려줬는데, 그러면 길에서 죽는 노숙인이 나올 수밖에 없다"며 "인천 노숙인 시설의 상황을 상세히 조사해 보도한 점이 눈에 띈다"고 말했다. 그는 "또 서울·부산 등의 대처 방식과 인천을 비교해가며 실현 가능한 대안을 제시한 점도 눈길을 끈다. 시의적절하게 문제를 제기한 것도 높게 평가하고 싶다"고 덧붙였다.
김 위원장은 또 <서해5도 정주지원금 내년부터 대폭 늘듯, 78억규모 국비증액안 상임위 통과>기사에 대해 칭찬을 아끼지 않았다.
그는 "정부가 전액 삭감시켰던 백령도와 대청도 등 서해5도의 주민 대피시설 신축 예산 48억원이 지난 9월 경인일보의 지적에 따라 행안위 상임위에서 부활했다"며 "이는 지역 언론이 해야 할 역할을 제대로 한 결과로 칭찬받아야 한다"고 말했다.
도성훈 위원은 <선학중 교육협동조합 건강 매점·마을연계 공방 오픈, 교과서 밖 세상 체험하는 '학교 속의 학교'>(7일 18면) 기사를 재미있게 봤다고 했다. 도 위원은 "기사가 다룬 학교는 행복배움학교(인천형 혁신학교)로 교육과정 및 학생자치, 학교문화 혁신의 모델학교"라며 "이런 혁신 사례를 소개함으로써 인천교육에 대한 시민들의 이해를 돕고 궁금증을 해소하는 데 도움이 되는 기사"라며 "행복배움학교의 의미 있는 변화에 대해 잘 다뤄달라"고 말했다.
도 위원은 또 <[인천도시공사 '북돋움 프로젝트' 가동]지역공동체·경제회복 초점… 맞춤형 도시재생 뉴딜 추진>(9일 7면) 기사도 눈여겨봤다고 했다. 그는 "인천도시공사가 도시재생 뉴딜 사업을 추진하면서 지역공동체를 활성화하고 일자리 창출 등 지역경제 회복을 돕기 위한 프로젝트를 추진한다는 반가운 소식"이라며 "도시재생은 구도심과 신도심의 상생을 위해 더 적극적으로 추진해야 할 사업인데, 경인일보를 통해 마을공동체 관련 기사를 더 자주 접했으면 한다"고 말했다.
윤미경 위원은 <"망해도 좋다" 창업 자신감 심어주다, [인터뷰]'2017 학생창업 활성화 유공자' 표창받은 고정환 인하공업전문대학 교수>(29일 11면) 인터뷰 기사가 신선하게 다가왔다고 말했다.
윤 위원은 "취업이 무척 어려운 시대를 사는 학생들의 아이디어를 살리고 가능성을 펼칠 수 있도록 대학 교수가 직접 챙기고 나서서 가르쳐주는 모습이 무척 인상적이었다"며 "학생들이 막연하게 가졌을 '창업'의 두려움을 깨도록 돕고 용기를 준 노력이 돋보였다. 이런 노력들이 지면에 자주 소개됐으면 한다"고 말했다.
아쉬운 기사도 있었다.
윤 위원은 <거미줄 같은 인천시내 CCTV, 軍도 들여다본다>(30일 1면) 기사가 무척 아쉽다고 했다.
그는 "군(軍)이 인천지역에 거미줄처럼 퍼져있는 6천330여대의 폐쇄회로(CC)TV를 작전에 활용하는 방안을 추진한다는 것을 소개하며 군이 민간 영역에 과도하게 진입하려 한다는 비판이 일 전망이라고 했는데, 비판이 제대로 드러나지 않아 아쉬웠다"며 "무언가 꺼림칙하고 심각하게 느껴지는데, 기사에서 문제점이 구체적으로 다뤄지지 않아 아쉬웠다"고 지적했다.
김 위원장도 "군이 민간의 자산을 국민의 재산과 생명을 지키는 범위라면 활용할 수 있지만, 그렇다 하더라도 시민과의 공감대나 소통, 협력하려는 노력이 있어야 했는데 그러한 점이 보이지 않았다"며 "예상되는 문제를 좀 더 깊이 살폈으면 하는 아쉬움이 있었다"고 했다.
이도경 위원은 '사람들' 지면이나 광역·기초의회 등의 활동 소개 기사의 경우 "누가 보더라도 '보여주기 식'의 행사로 보이는 것들이 많은데, 꼭 기사를 게재해야 하는지 고민하는 경인일보의 모습을 보고 싶다"고 말했다.
김 위원장은 <[경인고속도로 관리권 인천시 이관, 어떻게 달라지나]인천~서인천IC 시속 100 → 60㎞… 일반화 후 시민혼란 최소화 온힘>(10일 3면) 기사가 아쉽다고 했다.
그는 "고속도로를 일반화한다고 일반 도로처럼 속도를 낮추는 것이 맞는지, 근거가 있는지 확인해 볼 필요가 있다"며 "일반화 이후 실제로 달라지는 것이 하나도 없는데, 규제부터 들이미는 시 행정부의 문제를 지적했어야 한다. 시민이 불편하면 편하게 해줘야지, 규제부터 하는 행정은 잘못됐다"고 했다.
/김성호기자 ksh96@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