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상화폐(암호화폐) 거래 계좌로 가장 많이 활용되는 금융기관이 농협은행인 것으로 나타났다.

5일 금융감독원이 국회 정무위원회 더불어민주당 박용진 의원실에 제출한 '가상통화 취급업자 관련 은행 계좌 수 및 예치금액' 자료를 보면 지난해 12월 12일 기준으로 농협은행의 잔고가 은행 중 가장 많았다.

농협의 가상계좌 발급 계좌는 단 2개였지만 계좌 잔액이 7천865억원에 달해 국내은행 중 단연 최고였다.

가상계좌는 대량의 집금·이체가 필요한 기업이나 대학 등이 은행으로부터 부여받아 개별고객의 거래를 식별하는 데 활용하는 법인계좌의 자(子) 계좌다. 1개의 법인계좌 아래에 많은 가상계좌가 있다.

농협의 경우 국내 최대 가상화폐 거래소인 빗썸과, 3~4위권 대형사인 코인원의 주거래은행이다 보니 가상계좌 발급 건수는 가장 작지만, 계좌 잔고는 가장 많다. 가상계좌 수는 수백만 좌에 달할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가상화폐 가상계좌 잔액 기준 2위는 국책은행인 기업은행으로 4천920억 원(30개)에 달한다.

기업은행은 최근 두 달간 혜성처럼 부상한 가상화폐 거래소 업비트의 주거래은행이라는 점이 잔고 급증의 배경으로 꼽힌다.

역시 국책은행인 산업은행 역시 가상화폐 가상계좌 잔액이 455억 원에 달한다. 산업은행은 가상계좌 거래소 코인원에 가상계좌를 터주고 있다.

시중은행 중에선 국민은행이 가상화폐 거래소에 18개 계좌를 내주고 있다. 이들 계좌에는 거래소의 운영자금 총 3천879억원이 들어 있다.

국민은행은 지난 해 7월말부터 가상화폐 거래소와 가상계좌 계약을 해지한 바 있다.

은행들은 가상계좌를 발급해주고 예금 유치 및 수수료 수입을 벌어들이고 있다. 업계는 가상계좌 운영에 따른 은행들의 수수료 수입이 수십억원대에 이르는 것으로 보고 있다.

지난달 12일 기준 은행의 가상화폐 가상계좌 잔고는 2조670억원이었다. 이는 1년전 322억원 대비 64배 늘어난 규모다.

은행들은 지난해 말 정부 대책에 따라 가상계좌 신규 발급과 기존 가상계좌의 신규 회원 추가를 차단했으며, 기존 거래자는 실명 전환할 계획이다.

/디지털뉴스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