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011601001006000048181
김명래 인천본사 사회부 차장
교육감 선거를 앞두고 인천에서 '단일 후보'를 내기 위해 움직이는 단체 3곳이 있다. 지난 해 11월 '바른 교육감 후보 단일화 추진단'이 가장 먼저 시작했고 이어 '인천 촛불 교육감 추진 위원회'가 발족했다. 16일에는 '좋은 교육감 추대 추진위원회'가 발기인 대회를 열었다. 여기에 더해 교육감 후보 단일화 추진 기구 1~2곳이 더 생길 가능성이 있다. 인천은 현재 구속 수감 중인 교육감이 뇌물죄 확정으로 직을 상실하면서 교육감이 공석인 상황. 여기에 더해 교육감 권한대행도 '선거에 나설 수 있다'는 뜻을 내비치고 있다. '교육감 선거판'은 이미 달아올랐다.

공식 선거 운동이 시작되기 전이다. 교육감 단일화 추진 기구와 출마 희망자들의 움직임도 제한될 수밖에 없다. 인천의 교육감 단일화 추진 기구와 후보들은 선거관리위원회의 유권 해석 등을 요청하면서 조심스럽게 활동하고 있다. 그래도 차기 교육감에 대한 시민의 관심이 크지 않은 것 같아 아쉽다.

교육감은 교육자치법에 따라 인천의 교육·학예 사무를 총괄한다. 한 해 3조 원이 넘는 규모의 예산을 수립해 집행한다. 교육 규칙을 제정하고, 교육 과정 운영에 관한 사항을 관장한다. 이밖에 평생 교육, 학교 체육, 보건, 학교 환경 정화 등의 사무를 담당한다. 426개 유치원과 508개 초·중·고교, 8개 특수학교에 재학 중이거나 입학 예정인 원생·학생과 학부모들이 교육감의 정책에 영향을 받게 된다. 학교 급식비 지원 여부를 결정하는 것도, 고교 입학금을 면제하는 것도, 학원 교습 시간을 정하는 것도 교육감이다. 그 중요성에 비해 시민 관심이 낮은 것. 교육감 직선제 도입 이후 출마 후보들의 공통된 고민거리였다.

'먹고 살기 힘든데 무슨 교육감 타령이냐'고 반문할 수 있다. '그 놈이 그 놈인 것 같다'는 냉소주의도 있을 것이다. 그래도 시간을 내 교육감 출마 희망자들이 누구인지, 교육감 단일화 추진 기구의 목적은 무엇인지 등을 찾아보기를 권한다. 교육 대표자로서 적합한 삶을 살아왔는지 들여다보자. 시장, 구청장뿐 아니라 교육감도 우리 삶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김명래 인천본사 사회부 차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