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의 일부 지표 상승·증가 보고
부산에 역전한 것으로 오판 우려
민간소비 격차 되레 벌어지는 추세
가계금융복지 조사결과
가구당 순자산 16개 광역중 14위
전국 최하위 수준임을 상기 시켜

2018012301001438600068491
김하운(사)함께하는 인천사람들 대표
매년말 전년도 지역소득 통계가 발표된다. 지역별로 비교가 되므로 각 시·도로서는 성적표를 받아보는 셈이다. 하지만 보통은 그런 발표가 있는지도 모르고 지나간다. 최근 인천에서 이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 것이 의외이다.

최근의 관심은 경인일보가 다른 언론에 앞서 이를 보도한데서 시작됐다. "인천의 1인당 소득이 부산을 앞질렀고, 총생산도 곧 앞설 것으로 예상된다"는 것이 요지였다. 이에 일부 정치인과 공무원들이 자랑스럽게 이를 인용하자 다른 언론이 "양으로 따지는 총량 지표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내실을 살필 수 있는 질적 지표가 중요하다"며 반론을 폈다.

인천과 부산의 키 재기 국면이다. 통계적 진실은 무엇일까?

지역의 경제력을 측정하는데 가장 많이 활용되는 총량지표는 지역내총생산(GRDP)이다. 통계가 시작된 1985년 인천의 GRDP는 부산의 59.8%였다. 이후 꾸준한 증가를 보여 2016년에는 부산의 99.6%까지 늘어났다. 추세로 보아 2017년 GRDP는 이미 인천이 부산을 앞섰을 것으로 보인다.

GRDP 못지않게 중요한 총량지표가 지역총소득이다. GRDP가 '그 지역에서 얼마나 생산되었는지'를 나타낸다면 지역총소득은 '그 지역사람이 얼마나 벌었느냐'를 보여준다. GRDP에 지역주민이 외지에서 벌어온 것을 더하고 외지사람이 지역에서 벌어간 것을 뺀 개념이다. 인천의 지역총소득은 2000년 부산의 66.4%에서 출발하여, 2016년에는 부산의 89.5%에 달하고 있다. 지역총소득이 늘고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아직은 부산과 격차가 크다.

인천의 지역총소득이 부산에 크게 뒤처지는 이유는 부산에 비해 인천시민이 외지에서 벌어들이는 순소득이 그만큼 적은데다, 인천의 공항, 철도, 발전, 면세점 및 대형마트, 산업단지 등의 경우 생산은 인천 땅에서 이루어지지만 소득의 상당부분은 서울이나 경기도 등으로 빠져나가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최근 5년만 보더라도 GRDP 대비 지역총소득의 비율은 부산이 113~115%로 인천의 100~106%보다 10%p 정도를 늘 앞서고 있다.

지역주민의 입장에서는 총량지표보다는 1인당 지표가 훨씬 큰 의미를 갖는다. 대표적인 지표는 1인당 GRDP, 총소득, 민간소비와 개인소득이다. 1인당 지표를 보면 인천이나 부산 모두 전국 평균에는 한참 미치지 못한다. 그러면서 GRDP나 총소득은 인천이 부산을 앞서지만 정작 시민에게 중요한 민간소비나 개인소득은 인천이 부산에 미치지 못한다.

즉, 1인당 GRDP는 2016년 인천이 전국의 87.2%로 부산의 73.8%를 앞서고 있고, 1인당 지역총소득 역시 인천이 전국의 88.5%로 부산의 83.4%를 앞서고 있다. 이는 최근에 갑자기 나타난 역전이 아니라 1인당 GRDP의 경우 통계적 비교가 가능한 1985년부터, 1인당 지역총소득은 2002년 이후 지속되어 온 추세적 현상이다.

이에 비해 민간소비는 2016년중 부산이 전국의 99.6%이고, 인천은 전국의 89.7%에 불과하다. 개인소득 역시 부산이 전국의 98.6%로 인천의 95.5%를 앞서고 있다. 그나마 인천의 입장에서 위로가 된다면 부산은 1인당지표가 대부분 하락세를 보이고 있는데 비해, 인천은 상승세 또는 상승반전을 보이고 있다는 점이다.

걱정인 것은 일부지표의 상승 내지 증가만을 보고 수도권의 인천이 비수도권을 대표하는 부산에 마치 역전한 것으로 오판할 우려가 있다는 점이다. 전세가격이 낮아 인천으로 이주한 주민소득에 의존하여 인천의 개인소득이 증가를 보이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인천과 부산의 개인소득 격차는 여전하다. 정부와 기업부문을 제외하고 가계소비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민간소비의 격차는 오히려 확대추세에 있다. 같은 때 발표된 가계금융복지 조사결과, 인천의 가구당 순자산이 전국 최하위 수준(16개 광역시도중 14위)이었음을 다시 한 번 상기시켜주는 통계결과이다.

/김하운(사)함께하는 인천사람들 대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