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012401001527900072731.jpg
개기월식 달의 위치도./한국천문연구원 제공

오는 31일 밤에는 달이 지구 그림자에 완전히 가려지는 개기월식을 볼 수 있을 전망이다.

24일 한국천문연구원(이하 천문연)에 따르면 이달 말 예보된 월식은 기상 상황만 좋다면 시작부터 끝까지 전체 과정을 눈으로 관측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31일 오후 5시 38분에 뜨는 달은 반영식(달에 지구 그림자가 비치기 시작하는 것)을 거쳐 8시 48분 6초부터 부분 월식 현상을 보인다.

지구 본 그림자에 완전히 들어가는 개기월식은 오후 9시 51분 24초에 시작된다.

38분여 뒤인 오후 10시 29분 54초에는 최대가 되고 11시 8분 18초까지 지속된다.

부분월식은 자정을 넘어 2월 1일 0시 11분 36초까지 진행된다.

오전 1시 10분에는 이번 월식의 전 과정이 종료된다.

2018012401001527900072732.jpg
개기월식 진행 과정./한국천문연구원 제공

우리나라에서 개기월식의 전 과정을 볼 수 있는 것은 지난 2011년 12월 10일 이후 6년여만이다. 7년 후인 2025년 9월 7일에 다시 전 과정을 관측할 수 있다.

천문연은 피이스북 페이지(www.facebook.com/kasipr)ㄹ를 통해 이번 월식현상의 전 과정을 실시간으로 방송할 예정이다.

또한 국립과천과학관 천체관측소 및 주변광장에서 개기월식 관측행사를 진행할 예정이다.

월식이 일어나는 시간에 맞춰 과학관에 오면 누구나 무료로 천체망원경을 통해 이 현상을 관측할 수 있다. 과천과학관에는 30여 대의 천체망원경이 설치돼 있다. 디지털카메라를 가져오면 과학관의 장비를 이용해 개기월식 사진을 직접 촬영할 수도 있다.

과천과학관은 이번 개기월식이 '슈퍼 블루문 개기월식'이라는 점에서 특별하다고 강조했다.

블루문은 한 달에 두 번째 뜨는 보름달을 뜻하는 데, 이날 뜨는 블루문은 일반 보름달보다 크게 보이는 '슈퍼 블루문'이라는 이유에서다.

과천과학관은 "슈퍼 블루문과 개기월식이 겹치는 것은 지난 1982년 12월 30일 이후 35년만"이라고 설명했다.

/김신태기자 sintae@kyeongin.com


2018012401001527900072733.jpg
달의 공전에 따른 월식의 모습. /한국천문연구원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