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의 바이오분야 관심·투자 부러움보다
한국의 '4차산업혁명·성장동력'이란 걸
정부·투자기관 제대로 인식해주길 바라

clip20170706133303
김민규 충남대학교 동물자원과학부 교수
세계적 학술지인 '셀(Cell)'지는 지난 24일 중국과학원(CAS) 신경과학연구소에서 체세포 핵이식기술(SCNT)로 마카크 원숭이 2마리의 복제 성공에 대한 논문을 실었다. 이는 1996년 영국의 로슬린연구소에서 복제양 돌리가 태어난 지 22년 만에 영장류의 복제에 성공한 기술이다. 단순히 기술적 진보를 따지자면 큰 의미가 없지만 의학·학술적 가치는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지금까지 사람의 질병 연구나 신약개발에 사용되어 온 동물은 마우스(흰 생쥐)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었는데 마우스는 사람과 생리적·유전적 차이로 인해 약효평가나 신약개발의 효율성이 매우 떨어진다고 2015년 '네이처'지는 발표했다. 따라서 사람과 매우 유사한 유전적 생리학적 특성을 가진 원숭이를 통해 이루어지는 질병 연구나 신약개발은 한층 발전할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필자가 더 큰 의미를 두는 것은 원숭이 복제에 성공한 연구주체가 중국이라는 것이다. 중국의 '바이오 굴기'는 거침없는 행보를 보이고 있다. 정부의 R&D 지원은 물론 산업화에도 한국을 크게 앞지르고 있어 신약 임상지원 건수가 이미 한국을 앞지른 지 오래됐다. 바이오분야의 예산 규모는 2015년 기준 2조3천억원을 웃돌았던 한국 바이오 R&D 예산에 비해 중국은 2009년 2조원을 넘어섰고 2012년에 5조원에 육박했다. 외국 바이오·제약사의 R&D센터를 적극 유치하는 등 내용적인 측면에서도 중국의 움직임은 기민하다. 로슈, 화이자, 노바티스 등 글로벌 바이오 기업의 연구센터를 중국 내에 유치하고 이들과 베이징대·칭화대 간 공동연구도 지원하고 있다. 중국 정부의 바이오 육성 정책에 힘입어 관련 해외 유학파들의 귀국 움직임과 기업 활동도 활발하다. 지난 6년간 귀국한 200만명의 해외 유학파 가운데 25만명은 생명공학 분야 인재인 것으로 알려졌다.

국제 학술지 사이언스지에 따르면 지난해 하반기 전 세계에서 실시된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 관련 임상시험은 모두 10건으로 이 중 9건이 중국에서 진행됐다. 미 펜실베이니아대 유전자 가위 연구팀의 칼 준 박사는 "미국과 중국은 유전자 가위분야에서 완전히 다른 시각을 가지고 있다"며 "규제 영향으로 미국은 유전자 가위분야에서 선도적인 지위를 중국에 넘겨줄 수 있다"고 우려했다. 한국은 각종 규제 탓에 연구시험에 제동이 걸리며 뒤처지고 있다. 유전자 가위기술은 현재 3세대까지 개발되면서 DNA 교정이 더욱 용이해졌고 인간을 비롯한 동물뿐 아니라 식물에도 적용 가능해 질병이나 병충해에 강한 동식물의 육성이 가능해졌다. 하지만 우리나라에서는 생명윤리법에 의한 규제가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어 연구의 진행속도가 매우 더디다. 또한 유전자 가위에 앞서 한국이 독보적 기술력을 자랑했던 줄기세포 분야에서도 중국에 역전당한 지 오래다. 식품의약품안전처에 따르면 줄기세포에 관한 한국과 중국의 신규 임상연구 건수는 2014년 각각 5건으로 동일했지만 2015년 중국이 11건으로 한국(10건)을 넘어섰고 2016년에는 중국 8건, 한국 5건으로 그 격차가 더욱 벌어졌다. 자칫하면 우리는 선진국의 연구결과만 쫓아가는 형국이 될 수 있어 규제의 완화와 R&D 지원의 확대가 절실히 필요하다.

향후 국민의 먹거리를 창출할 수 있는 산업은 바이오분야가 상당 부분을 차지할 것으로 판단된다. 하지만 우리의 현실은 가시적인 성과만을 중시하는 경향이 강하다. 최근까지 한결같이 바이오산업의 혁신과 경쟁력을 떨어뜨리는 원인으로는 바이오산업이 시장 친화적이지 못하고, 창업 등에 대한 혁신적 노력이 부족했으며, 실패확률이 높은 분야의 투자의지 부족 등이라 할 수 있다. 아무리 우리나라의 연구자가 과학기술논문인용색인(SCI)급 학술지 발표 경쟁력이 세계 11위이며, 특허경쟁력이 세계 9위라 할지라도 세계적인 평가기관들은 한국의 바이오분야 투자 현실이 빈약하다고 평가하고 있다.

중국의 바이오분야에 대한 관심과 투자는 많은 연구자와 창업자들의 부러움으로 남기보다는 한국의 성장동력이 바이오분야임을 정부나 투자기관에서 제대로 인식해 주길 바라는 마음이 더욱 크며, 4차 산업혁명 분야에서도 바이오헬스분야에 대한 관심과 지원으로 연구개발 인프라 조성 및 협력체계를 구축하길 기대한다. 바이오 산업이 중요시 여기는 원천기술 확보와 R&D 과정에서 오랜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는 고위험 고수익 사업 특성을 정부나 민간이 잘 이해해 정부의 정책적 지원과 민간투자가 과감히 이루어지길 연구자의 한사람으로서 간절히 소망해 본다.

/김민규 충남대학교 동물자원과학부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