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개기관·어민대표 용역결과
498명중 251명… 50.4% 달해
2004년 송도매립공사 이후
어촌계원 비정상적으로 급증
보상을 노린 '조직적 움직임'
부동산 투기판으로 변질한 경인공동어업보상(1월 29일자 23면 보도)의 보상 대상자 절반이 2007년 이후 배를 부리기 시작한 어민인 것으로 확인됐다.
인하대 산학협력단이 지난해 9월 발표한 '어민지원대책 수립' 결과를 보면 어선 보상 대상자(510명) 가운데 조사에 의한 498명 중 251명(50.4%)의 어업 경력이 10년 미만이었다. 5년 미만은 86명(17.3%), 5년 이상 10년 미만은 165명(33.1%)이었다.
설문 조사 시점(2017년 3월)을 기준으로 역산하면 2007년 3월 이후 어업 보상 구역에서 어업을 시작한 어민이 보상 대상자의 절반이었음을 알 수 있다. 이 조사는 경인공동어업보상 사업시행 4개 기관과 어민 대표들이 2016년 11월 맡긴 용역으로 이뤄졌다.
인천경제청 등 사업수행 기관들은 '단기 경력 어민'이 보상 대상자에 다수 포함된 이유에 대해 뚜렷한 답을 내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어민들은 송도 매립 공사가 시작된 2004년 이후 보상 대상이 될 어촌계원이 비정상적으로 급증했다고 전했다. 보상을 노린 조직적 움직임이 있었다는 것이다.
인천 지역의 한 어촌계 관계자는 "2005년 어촌계원이 50명 정도에 불과했던 한 어촌계는 이듬해부터 계원이 계속 증가해 한때 180여 명까지 늘었다"며 "사람이 크게 줄거나 늘어나지 않는 어촌계 특성상 비정상적인 현상"이라고 했다. 이 어촌계의 현재 가입 인원은 160여 명으로 알려졌다.
반면 비슷한 시기 경기지역에서는 인천 연안으로 이동이 늘었다는 게 어민들의 얘기다. 경기·인천 지역 어민들은 어촌계 이동이 자유로운 점을 이용해 투기 세력이 배를 사들인 것으로 추정된다.
2004년부터 2012년까지 어촌계 간부를 지냈다는 경기 지역 한 어촌계 어민은 "2005년 우리 어촌계에는 모두 113척의 어선이 있었지만, 2012년에는 67척까지 떨어졌다. 나머지는 모두 외지인한테 팔려서 소래나 월곶으로 갔다"며 "2천만~3천만원짜리 소형 어선이 1억원 이상에 거래되기도 했다"고 말했다.
2014년에는 경인공동어업보상을 노리고 출·입항신고서와 어판 실적 등을 위조한 일당이 무더기로 적발되기도 했다.
당시 수사에 참여했던 한 경찰은 "보상을 노린 불법 행위는 2008년이 가장 심했다. 당시에는 '떴다방' 형식의 어선 브로커들도 엄청 많았다"며 "심지어 운항실적을 위조하기 위해 한 배가 다른 배들의 출항 기록 장치까지 갖고 나간 이들도 있었다"고 전했다.
/공승배기자 ksb@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