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후죽순 태양광 발전사업 문제점 잘 지적
낙태죄 폐지·육아휴직 감소등 현실 짚어줘
지적된 내용들 향후 대책등 추후보도 주문
경인일보 12월 독자위원회가 지난 24일 경인일보 3층 대회실에서 열렸다.
이날 회의에는 김준호(수원대 객원교수) 위원, 박은순(경기여성단체연합 정책위원장) 위원, 이을죽(미래사회발전연구원 이사) 위원, 홍문기(한세대 교수) 위원, 송원찬(경기복지시민연대 정책위원장) 위원, 이민상(협성대 교수) 위원이 참석했다. 허성수(부천원미경찰서 생활안전과장) 위원은 서면으로 함께했다. 경인일보에서는 김환기 사회부장이 나와 경청했다.
홍문기 위원은 "12월에는 1면에 다양한 기획기사가 실렸는데 이슈 선점에 있어 방향성이 좋고 신선하다고 느꼈다"면서 "다만 종합적인 해석에 대해서는 미흡한 경향을 보였다"고 말했다. 그는 "정부 주거 복지 로드맵과 태양광 발전 사업, 남경필 지사의 포기 발언 등을 기획해 보도했는데 이들은 모두 지방선거에서 주요 쟁점 사안"이라며 "개별 사안에 따른 보도에서는 지적과 대안이 적절히 실렸으나, 이 사안들이 내포하는 종합적인 내용에 대해서는 비교·대조 분석이 없어 정책 등이 가진 한계를 풀어내지 못했다"고 지적했다.
이을죽 위원도 "우후죽순 난립하는 태양광 발전사업의 기획기사는 현재 안고 있는 문제를 자세히 지적했다. 특히 경기도를 중심으로 현황이 보도돼 와닿았다"며 "하지만 문제점은 다 파악됐는데 제시된 대책은 다소 뜬구름 잡는 원론적인 것 뿐이었다. 특히 중앙정부의 로드맵만 실리고 도의 대책은 거론되지 않았다. 도의 정책도 다뤄주길 바란다"고 덧붙였다.
박은순 위원은 "이달에는 개인적으로 공감되는 기사가 많았다. 낙태죄 금지, 육아 휴직 감소, 경기대 생리공결제 폐지 등 우리가 처해 있는 출산과 육아의 현실을 짚었다"며 "하나의 이슈로 끝나지 말고, 다각적으로 접근해 우리 사회의 문제를 짚어보는 시각으로 넓혀 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또 박 위원은 "5일자 신문에 홀몸·독거 노인이 사망했을 때 지자체가 처리하는 개인 자산의 어려움을 보도했는데, 실제 지원금 등 개별 통장을 시설에서 관리할 경우 향후 처리가 상당히 복잡하다. 세세한 지침이 필요한 만큼 경인일보가 다뤄주길 바란다"고 제안했다.
송원찬 위원은 "영흥도 낚싯배 전복 사고를 비롯해 용인타워크레인 사고 등 사건·사고가 끊이지 않은 12월이었다. 경인일보는 대체적으로 자세히 원인을 분석하고 대안을 제시했다"고 평가했다. 이어 그는 "전달에 이어 이달에도 특성화고 현장 실습생 자살에 대한 후속 보도를 이어 갔다. 작은 사건을 이슈화해 심층적으로 원인과 내용을 분석해 취약층의 현실을 재조명했다"고 덧붙였다.
허성수 위원은 6일자에 실린 칼럼 '이국종에게 뭔 일이?' 기사 관련 "논란이 됐던 귀순병에 대한 이국종 교수의 인권 탄압성 발언 문제를 거론하지 않고, 이국종 교수가 심신이 지칠 수밖에 없는 이유를 중증외상센터의 열악한 운영 실태와 묶어 설명한 내용이 설득력이 높았다"고 말했다. 하지만 8일자의 '경찰 조직에 겉도는 저녁이 있는 삶' 기사에 대해서는 "경찰의 복지에 초점을 둔 기사의 의도는 좋았으나, 사실관계가 조금 다른 것 같다"며 "매주 수요일은 '유연 근무' 장려의 날로, 정시 출·퇴근이 아닌 1~2시간 일찍 출근하고 이에 맞춰 1~2시간 일찍 퇴근하는 요일이다. 따라서 취재를 한 수요일에 아침 일찍 출근하는 경찰이 많은 것은 초과근무를 한 것이라기보다는 유연 근무를 하기 위해, 즉 일찍 퇴근하기 위해 일찍 출근했을 가능성이 높다"고 지적했다.
김준호 위원은 "29일자 2017년 마지막 신문에 경기도 최대 이슈라할 수 있는 수원 공항 이전과 관련해 헌재의 결정을 1면에 소개하고, 화제인물이던 이국종 교수를 '올해의 인물'로 뽑아 1면을 할애해 특별 인터뷰 기사를 게재한 것은 한해의 마지막 의미를 한껏 살린 구성이었다"고 평가했다. 이어 김 위원은 "올해는 적재적소에 예산이 투입될 수 있도록 지난해 미집행 예산을 검토해 달라"고 제안했다.
끝으로 이민상 위원은 "한해를 되짚어 보니, 경인일보가 반성을 많이 해야 한다고 느껴졌다"며 "수원이 도에서 가장 큰 도시에 속하다 보니 지면이 쏠리는 경향이 있고, 지적 기사 후 대책이나 향후 과정에 대해서는 미흡하게 다루고 있는 것 같다. 기억 나는 기사 중 향후 대책까지 마무리하면서 종점을 찍은 기사는 특정업체가 경기도도시공사의 발주를 독점해 수주하는 기사 정도다. 2018년에는 지적과 더불어 향후 지자체나 기업의 대책 마련 등에도 신경을 쓰길 바란다"고 말했다.
/황준성기자 yayajoon@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