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산가족 상봉·정상회담 與 유리
보수성향 강화·옹진도 영향 클 듯
북미 갈등 등 돌발 상황 땐 '반전'

'남북 화해 무드'가 6·13 지방선거의 최대 이슈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특사 자격으로 방한한 김여정 조선노동당 중앙위원회 제1부부장 일행이 지난 10일 문재인 대통령과 청와대에서 만나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친서를 전달하면서 문 대통령의 방북을 요청했다.

김여정 특사는 또 11일에는 문 대통령과 서울에서 북측의 삼지연 관현악단의 공연을 관람했다.

김여정 특사와 문재인 대통령은 김 특사의 방한 일정 사흘 내내 만났다. 이번 김여정 특사의 방한으로 조성된 남북 화해 무드는 지방선거를 관통하면서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지방선거 전후에는 이산가족 상봉 등의 행사가 열릴 수도 있다. 문재인 대통령의 8·15 방북도 점칠 수가 있다.

지방선거를 앞두고 남북 당국 간 실무회담이 계속해서 이어질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이산가족 상봉과 남북 정상회담은 그 자체로 선거판을 뒤흔드는 블랙홀이 될 가능성이 높다.

이산가족 상봉은 보수성향이 강한 노년층의 정서를 자극해 선거에서 진보 정당에 표를 던지게 할 수도 있는 최루성 강한 드라마다. 남북 정상회담 역시 마찬가지로 여권에 절대적으로 유리한 국면을 조성할 수가 있다.

문제는 그 성사 가능성이다.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자신이 가장 아끼는 여동생을 특사로 보냈다는 점에서 남북 화해 무드의 지속성을 긍정적으로 예상할 수 있다.

역사적인 '백두혈통'의 청와대 방문이 성과를 낼 수 있도록 북측이 여건을 만들어 가지 않겠느냐는 전망이 가능하다. 이런 점에서 보면 조만간 북미대화의 장도 마련될 수 있다.

남북의 화해 분위기는 보수 성향의 표가 많은 강화도와 옹진군 지역 등에서 약세를 면치 못하던 여권 후보에 강력한 힘이 될 수 있다.

이는 인천시장 선거나 인천시교육감 선거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보수 성향 지역과 노령층의 지지에 기대를 걸고 있는 자유한국당 소속 후보들에게 남북 화해 무드는 절대적으로 불리한 이슈임에 틀림없다.

그러나 남북 관계는 언제든지 극과 극으로 반전될 수 있다는 사실도 그동안 많이 경험했다.

지방선거 이전에 북미 간, 또는 남북 간에 돌발 상황이 연출될 경우에는 더불어민주당 등 여권 후보들이 헤어날 수 없는 악재를 만나게 된다. 6·13 선거판의 열쇠가 북측에 넘어간 느낌이다.

/정진오기자 schild@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