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 추구하는건 나쁘지 않지만
인생목표 1순위로 두는게 문제
내 뜻대로 안된다는걸 인정하고
부자에 대한 개념부터 바꿔야
더 벌기위해 애쓰는것 보다
자기삶 만족할줄 아는게 '부자'


2018021301001005200047921
홍창진 수원교구청 신부
금의 보유량을 전제로 그 비율에 따라 달러라는 화폐를 만들었다. 이것은 금이라는 현실을 근거로 한 것이다. 화폐는 유가증권으로도 주식으로도 변할 수 있지만 그 근저에는 금이라는 현실이 있다. 그런데 최근 가상화폐의 관심은 매우 뜨겁다. 현실이 아닌 가상을 근거로 화폐를 만들고 그것을 유통하면서 인간이 이제 현실의 욕망을 넘어 가상의 욕망까지 탐하는 존재가 되어 버렸다.

도대체 돈은 우리에게 어떤 의미를 주는 것일까? 돈만 있으면 인생은 정말로 행복한 것일까? 그렇다고 돈을 무시하고도 행복한 인생을 살 수 있는 것일까?

성경 구절 중에 신자들이 참 안 좋아하는 이야기가 있다. 부자 청년에 관한 일화이다. 어느 부자 청년이 예수를 찾아와 어떻게 하면 영생을 얻을 수 있느냐고 묻는다(참고로 그 청년은 평소에 선행도 많이 하고 교회가 가르치는 계명도 엄청 잘 지켰다). 그 질문에 예수는 "마지막으로 네가 가진 것을 전부 팔아 가난한 이에게 나누어 주라"고 말했다. 그 말을 들은 청년은 아무 대꾸도 못하고 시무룩한 표정으로 돌아갔고, 예수는 그 자리에 있던 제자들에게 "부자가 하늘나라에 들어가기보다 낙타가 바늘귀를 빠져 나오는 것이 더 쉽다"라고 말씀하셨다.

현실적으로 보자면 참 갑갑한 이야기다. 어릴 적에 이 이야기를 듣고는 참 원망스러웠다. 그 부자 청년의 심정이 꼭 내 마음 같았기 때문이다. 속으로는 '나는 부자가 아니니 하늘나라에 들어갈 수 있겠다' 하는 자조(?) 섞인 생각과, '바늘 귀 못 빠져나와도 좋으니 부자 한번 돼 봤으면 좋겠다' 하는 바람이 교차했다.

솔직히 부자 되기 싫은 사람이 어디 있을까? 나만 해도 신부가 되기 전까지 가장 큰 소원은 부자가 되는 것이었다. 하필 어릴 적 옆집에 살던 친구네가 엄청난 부자였는데, 2층 양옥에 연못까지 있는 그 집에 놀러 갈 때마다 이런 집에서 하루만 살아보면 원이 없겠다는 생각을 하곤 했다. 가죽 냄새가 폴폴 나는 커다란 소파에 몸을 묻고는 기필코 부자가 되고 말겠다는 의지를 다지곤 했다.

신부가 되고 나서 그 마음은 옅어졌지만, 지금도 돈에 대한 욕심 자체가 나쁘다고는 생각하지 않는다. 성경 속에서 예수님이 한 말도 무작정 돈 욕심을 버리라고 한 뜻은 아니라고 본다. 예수가 묻고 싶었던 건 돈에 대한 그 청년의 마음가짐이었을 거다. 가진 것 다 팔아 가난한 사람들에게 줄 수 있겠느냐는 질문은, 베풂을 강조하기에 앞서 재물을 1순위에 두는 한 인생은 자유로울 수 없다는 이치를 깨닫게 하기 위함이 아니었을까.

돈을 추구하는 자체가 나쁜 건 아니다. 다만 돈을 인생 목표 1순위로 두는 게 문제다. 돈은 좇는다고 잡아지는 것도 아닐뿐더러, 설혹 잡았다고 해도 그 자체가 행복과 직결되는 것도 아니기 때문이다.

여주 부근 성당에 있을 때 4대강 개발 덕에 땅값이 평당 10만원에서 200만원이 된 곳이 있었다. 그 때 마침 내 지인과 그의 친구 몇이 그곳에 땅이 있었다. 지인의 친구들은 이때다 싶어 땅을 팔았지만, 내 지인은 땅값이 더 오르려니 하고 팔지 않았다. 땅값은 평당 400만원 까지 올랐고, 땅을 먼저 판 사람들은 자기들끼리 모여 술잔을 기울이며 내 지인을 부러워하고 질투했다. 그러던 어느 날 개발 계획이 취소되면서 땅값이 원점으로 돌아갔다. 땅을 판 사람들의 술잔은 축배가 되었고 내 지인은 병을 얻어 입원을 하더니 급기야 6개월 만에 세상을 떠났다. 불과 1년 사이에 벌어진 일이다. 재물에 대한 애착 때문에 고통을 당하다 급기야 죽음에 이른 것이다.

먼저 돈이 내 의지대로 안 된다는 걸 쿨하게 인정하자. 또 하나, 부자에 대한 개념을 바꿀 필요가 있다. 부자란 돈이 많은 사람이 아니라, 더 이상은 돈을 늘릴 필요가 없는 사람이다. 강남에 수백억짜리 건물을 가지고 있어도 돈을 더 벌기 위해 애쓴다면 부자가 아니다. 내가 가진 것을 굳이 늘리려고 애쓰지 않는 사람이 부자다. 즉, 부자는 스스로 자기 삶에 만족할 줄 아는 사람이다.

/홍창진 수원교구청 신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