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022101001472200072221

간호사들 사이의 괴롭힘을 뜻하는 '태움 문화'가 주목받고 있다. 며칠 전, 서울 대형병원 간호사가 스스로 목숨을 끊은 게 발단이다. 그의 남자 친구는 '태움으로 불리는 괴롭힘을 당했다'고 주장하면서 극단적인 선택을 하게 된 이유 중 하나일 것이라고 의문을 제기했다.

태움은 '재가 될 때까지 태운다'는 뜻으로, 선배 간호사가 신임 간호사를 괴롭히며 엄하게 가르치는 방식을 뜻한다. 마치 군대에서 선임병이 후임을 갈구는 것과 같은 유형으로 보면 된다.

간호사들 사이에 태움이 싹튼 배경에는 직업적 특성이 작용한다. 생명이 오가는 병원 현장에서 신규 간호사의 작은 실수가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는 명분을 담고 있다고 한다. 시대가 변하면서 간호사 조직의 이러한 문화가 직장 내 괴롭힘이라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태움은 비단 간호사들에만 있는 게 아니다. 의사 사회에도 있고, 여자 승무원 사이에도 존재한다.

대표 사례는 부산시 소재 대학병원 교수들이다. 한 교수는 2013년부터 2015년까지 50여 회에 걸쳐 전공의 11명을 폭행한 것으로 드러났다. 후배 전공의가 환자 관리를 잘못한다는 이유였다. 그는 후배들에게 대리 수술을 시키기도 했다. 그를 믿고 수술대에 오른 환자들에 대한 명백한 사기행위다. 피해자들은 앞날에 대한 불이익을 우려해 폭행 사실을 숨겼다고 한다. 또 다른 교수도 비슷한 시기, 10차례에 걸쳐 전공의 12명을 상습 폭행한 사실이 국정감사에서 밝혀졌다. 그는 당직실에서 후배 전공의에게 일명 '원산폭격'을 강요하고 알루미늄 야구방망이로 엉덩이를 때렸다. 피해 전공의들은 고막이 파열되거나 온몸이 시퍼렇게 멍들었고, 피부가 찢어져 서로 상처를 꿰매준 사실이 드러났다.

고도의 정신적 집중이 요구되는 의사들과 간호사들 사이 '태움'은 정신 똑바로 차리라는 훈육의 의미로 이해될 수 있다. 하지만 어떤 이유로도 폭력과 따돌림, 집단 괴롭힘은 용납될 수 없다. 가르침을 빙자한 인격 살인이다. 대한민국 군대에서도 폭력과 얼차려가 없어진 세상이다.

/홍정표 논설실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