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kaoTalk_20180227_121223492
지난 21일 경인일보 인천본사 독자위원들이 1월 신문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 /조재현기자 jhc@kyeongin.com

'신생아 울지않는 경기·인천' 관심 끌어
'편의점 비상벨 발로 눌러야' 보도 신선
"다른 달에 비해 비판·발굴 기사 적다"

지난 1월 경인일보 지면을 평가하는 인천본사 독자위원회가 지난 21일 오전 11시 30분 경인일보 인천본사 회의실에서 열렸다.

이날 회의에는 김하운(함께하는 인천사람들 대표) 독자위원장과 윤미경(도서출판 다인아트 대표) 독자위원이 참석했고 이도경(명품스피치교육원 원장) 독자위원은 서면으로 의견을 보내왔다. 임성훈 문화체육부장이 이날 독자위원의 의견을 들었다.

김하운 독자위원장은 <월요기획/투기판 전락한 '경인공동어업보상', 송도 토지·어업보상금 노린 '짝퉁 선주'는다>(29일 23면) 기사가 눈길을 끌었다고 했다.

경인공동어업보상 사업은 인천 연안에서 진행되는 각종 개발사업으로 인한 어민 피해에 대해 보상하는 사업이다. 피해 어민들은 산정된 보상금과 함께 송도국제도시 내 토지를 받는 방식이다. 이번 보도에서는 보상에 앞선 어선 감척 조사에 임박한 시점에 등록 어선수가 급증한 점을 두고 의혹을 제기하며 관련 통계도 제시했다.

김 위원장은 "성실한 취재 노력이 돋보이는 독자로부터 칭찬을 많이 받아야 하는 기사였다"고 평가했다.

김 위원장은 또 통계청의 인구동향 통계를 분석한 <신생아 울지않는 경기·인천>(25일 6면) 보도를 눈여겨봤다고 했다.

그는 "경기·인천지역 월별 출생아 수가 또다시 최소 기록을 경신했다는 내용인데, 경인일보가 인구 동향을 꾸준히 들여다보고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며 "시의 적절하게 독자들에게 소식을 전달해 줘 반가웠다"고 말했다.

윤미경 독자위원은 <[인하대 학생팀 '한이음 엑스포' 금상] 졸음·난폭운전 없는 세상 향해 '논스톱'>(12일 13면) 기사가 눈길을 끌었다고 했다.

윤 위원은 "4차 산업의 핵심 산업으로 떠오르고 있는 드론과 자율주행 기술인데, 인천에서 공부하는 학생들이 큰 성과를 냈다는 것은 시민 모두가 축하해야 할 일"이라며 "학생들이 스스로 팀을 꾸려 연구하고 개발하려 노력한 모습이 다른 학생들에게도 좋은 사례가 됐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윤 위원은 인천문화재단의 강화·고려사 연구기관인 '강화역사문화센터'를 인천역사문화센터로 재편하며 지역사회에서 이는 논란에 대한 보도를 관심을 갖고 읽었다고 했다.

그는 "애초 인천시의 원칙 없는 공공기관 통폐합이 엉뚱한 결과를 초래한 것이라고 생각된다"며 "오히려 지금은 강화로 힘을 모으고 특화해 발전시켜야 한다. 강화를 홀대하는 정책은 즉시 중단돼야 한다"고 말했다.

이도경 독자위원은 <근로자 통행 안전 눈감은 쿠팡물류센터>(15일 23면) 기사를 잘 읽었다고 했다.

물류센터와 같은 하역 작업장에는 차량 출입구와 보행자용 출입구를 구분해 만들어야 하는데, 법규를 제대로 지키지 않았다는 기사다.

이 위원은 "흔한 단순 교통사고로 지나칠 수 있었던 사망 사건을 꼼꼼하게 잘 들여다봤다"며 "큰 기업이 법을 지키지 않았을 가능성을 알리고 보도해 좋은 결과를 이끌어낸 기자의 노력이 돋보인다"고 말했다.

편의점 비상벨을 발로 누를 수 있어야 한다며 경찰의 '한달음 시스템'의 개선 필요성을 지적한 <강도가 "손들어" 하면 신고버튼은 뭘로 누르나요>(11일 23면) 보도도 신선하다는 평가를 받았다.

아쉬운 기사도 많았다.

독자위원들은 경인일보의 지난 1월 지면이 다른 달과 비교해 읽을거리가 많이 약해진 인상을 받았다고 입을 모았다.

김 위원장은 "연초라서 그런지 경인일보의 다른 달 지면과 비교해 전반적으로 보도자료 생산기관에 의존한 기사가 많다는 느낌을 지울 수 없었다"며 "비판적이면서도 신선한 기획·발굴 기사를 더 자주 만나고 싶다"고 했다.

김 위원장은 <뉴스분석 / 인천시 '일반도로화 사업' 지역사회 반발- "바뀐 것도 없는데 제한속도만 줄어"경인고속도 일반화 감속없는 갈등>(11일 23면) 기사가 아쉽다고 했다.

그는 "경인일보가 사안을 주도적으로 다루지 못했다. 보도에 앞서 이미 문제화돼서 집단적 반발이 나온 상황에서 사안을 피상적으로 쫓아가는 인상을 줬다"고 했다.

윤 독자위원은 <효과 없는 정부 미세먼지 대책 '묻어가는 인천'>(16일 1면) 기사의 제목과 내용이 아쉽다고 했다.

윤 위원은 "정부의 실효성 약한 미세먼지 대책에 인천시가 일방적으로 끌려다닌다는 지적이 나온다는 기사였는데, 지자체가 잘못이라는 건지 중앙 정부가 잘못이라는 건지 더 적극적으로 정부 정책을 따르라는 얘긴지 모호해 보였다"며 "제목의 '묻어간다'는 표현처럼 기사도 명확하지 않았다. 더 쉽고, 분명하게 기사 방향을 잡았으면 하는 아쉬움이 있다"고 했다.

윤 위원은 또 <인천시, 시민과 함께하는 '인문학 도시'로>(16일 3면) 기사의 제목 표현이 과했다고 지적했다.

그는 "인천시가 인문학 진흥을 위한 시민강좌를 비롯한 각종 프로그램 운영과 인프라 조성을 올해 확대 추진한다는 기사 내용인데, 그러한 사업을 한다고 인문학 도시가 되는 것은 아니라는 생각이 든다"고 했다.

/김성호기자 ksh96@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