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022701001969000097211
임승재 인천본사 경제부 차장
'왜 주기만 하고 받을 생각은 안 할까…'. 2년 전 기자가 경제부로 발령받아 중소기업 등을 지원하는 경제분야 공공기관이나 단체들을 출입하며 가졌던 생각이다. 경제부 '초짜' 기자는 어느 한 기관의 대표에게 "왜 퍼주기만 하느냐"고 따지듯 묻기까지 했다.

그런 고민을 안고 기자가 썼던 칼럼 '오늘의 창'을 다시 읽어봤다. 당시 소상공인, 중소기업, 예비·초기 창업자 등을 도와주는 기관·단체들이 생각보다 많다는 점에 적이 놀랐던 것 같다. 또 연구·개발, 특허, 상표, 디자인, 마케팅, 경영자금 등 손에 꼽기도 어려울 만큼 수많은 지원사업이 펼쳐지고 있다는 것도 놀라웠다. 더군다나 이들 기관·단체가 실적을 높이기 위해 '고객(소상공인, 중소기업 등)' 유치 경쟁에 열을 올리고 있는 상황도 신기했다. 그런데도 이렇게 유용한 정보를 잘 모르는 골목상권 사장들이나 청년 창업자 등이 주위에 많다는 사실에 고개를 갸우뚱할 수밖에 없었다.

가장 의아했던 부분은 기관·단체들이 '국민 혈세'로 기업 등을 지원하면서도 이를 회수할 방법에 대해선 고민을 안 한다는 것이었다. 기자는 당시 칼럼에서 자금 등 도움을 받은 창업자가 장차 성공하면 지역사회에 기부하겠다는 약속이라도 받아보자는 다소 엉뚱한 제안을 하기도 했다.

'왜 주기만 하고 받을 생각은 안 할까'. 그 물음에 대해 2년이란 시간이 흐른 지금도 속 시원한 답을 구하지 못했다.

왜 기관·단체들은 전 세계적으로 유명한 제품 전시·박람회의 비싼 참가비 등을 지원해 주고도 혜택을 입은 기업들이 나중에 어떠한 성과(수출 계약 등)를 냈는지 알아보지 않는 걸까. 또 기업에 자금을 대거나 기술 자문을 해 신제품 출시를 돕고도 그 이익을 공유할 생각은 왜 하지 않는 걸까. 그렇게 기업과 나눈 이익을 다른 기업이나 예비·초기 창업자들에게 재투자할 고민은 왜 하지 않는 걸까.

기관·단체들의 이런 '무작정 퍼주기식' 지원은 2년 전이나 지금이나 마찬가지다. 그저 씁쓸할 따름이다.

/임승재 인천본사 경제부 차장 isj@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