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17개 시·도에서 오는 6월13일 동시 실시되는 제7대 지방선거가 4일 100일 앞으로 다가왔다.
서울 송파을을 비롯해 현재까지 전국 7곳에서 치러지는 국회의원 재·보궐선거와 함께 치러지는 이번 지방선거는 문재인 정부 출범 후 첫 전국 단위 선거로 이후 정국 풍향을 가늠할 1차 척도로 평가된다.
광역 및 기초단체장과 광역·기초 의원, 교육감까지 '풀뿌리 지방 권력'을 일괄 교체하는 이번 선거에서 승기를 거머쥐는 쪽이 이후 정국 주도권을 확보하는 만큼 정권 교체 후 명실상부한 중간성적표를 받아드는 여당이나 반전의 계기를 마련해야 하는 야당 모두 물러설 수 없는 열전을 준비하고 있다.
특히 이번 선거는 해를 넘겨 정국을 뒤흔든 중도통합발 정계개편으로 달라진 정치 구도에서 치러진다는 점에서 '신(新) 4당 체제'의 지속 가능성을 시험하는 무대로도 평가된다.
지난 20대 총선과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과정을 거치면서 더불어민주당, 자유한국당, 국민의당, 바른정당 등 헌정 사상 첫 '원내 4당 체제'가 형성됐다면, 이번 제7대 지방선거를 앞두고 국민의당과 바른정당 통합을 통해 더불어민주당, 자유한국당, 바른미래당, 민주평화당 등 '신 4당 체제'로 재편한 만큼 유의미한 '플러스 알파(+α)'의 결과를 얻어내느냐에 따라 현 체제의 경쟁력이 판가름나기 때문이다.
문재인 대통령의 높은 지지율을 등에 업고 선거를 치르게 되는 민주당은 광역단체장 기준 수도권 3석을 포함해 '9석+α', 등 돌린 보수표심을 아직 다 회복하지 못한 한국당은 전통적 지지기반인 영남 중심의 '6석+α'를 1차 목표로 세워놓고 있다.
바른미래당은 수도권 1~2곳을 포함해 최대 5명의 시도지사 배출을, 민평당은 지지기반인 호남에서 최소 1석 이상의 시도지사를 배출하는 게 승부의 기준이다.
기대에 미치지 못하는 성적표를 받아든다면 여야 지도부 모두 걷잡을 수 없는 후폭풍에 휘말릴 가능성을 배제하기 어려워 지방선거 이후 정국 유동성은 한층 커질 수 있다.
민주당 추미애 지도부의 경우 압승을 거두지 못한다면 집권 2년차 본격적인 개혁 동력을 확보하는 데 실패하는 것은 물론이고 탄핵과 대선을 잇달아 승리로 이끌어 냈다는 기존 성과에도 상처를 입게 된다.
한국당 홍준표 대표는 지방선거에서 보수층 결집에 실패할 경우 누적된 당내 불만이 폭발하며 현 지도 체제에 대한 원심력이 임계치를 넘어서는 상황이 발생할 가능성도 배제하기 어렵다.
신생인 바른미래당의 사실상 양대 주주인 유승민 대표와 안철수 전 대표의 경우 이번 선거에서 유의미한 결과를 얻어내지 못하면 정치적 기반 자체가 근본부터 흔들릴 수 있고, 민평당 역시 독자생존에 실패할 경우 지방선거 이후 또 다른 정계개편에 휘말릴 가능성이 크다.
선거를 100일 앞두고 여야의 대진표가 속속 채워지며 '잠룡' 들의 거취에도 정치권의 이목이 쏠리고 있다.
민주당의 경우 수도권을 중심으로 당내 경선 열기가 이미 뜨겁다.
최대 승부처인 서울시장은 박원순 시장이 이미 3선 도전을 선언한 가운데 박영선, 우상호, 민병두, 전현희 의원 등이 일찌감치 경선전에 뛰어들며 '잠룡'급으로 분류되는 중진들이 대거 포진했다.
경기도지사 역시 지난 대선 경선에 출마한 이재명 성남시장과 전해철 의원, 양기대 광명시장 등이 각축전을 벌이고 있고, 인천시장도 박남춘 의원과 김교흥 전 국회 사무총장, 홍미영 전 의원 등이 경쟁하고 있다.
반면 전반적인 인물 기근에 시달리는 한국당에서는 권영진 대구시장과 서병수 부산시장, 김기현 울산시장 등 영남권 현역들이 출마를 못 박은 가운데 이철우 의원과 이종혁 전 의원 등도 각각 경북과 부산시장에 출사표를 던지고 채비를 서두르고 있다.
바른미래당의 경우 안철수 전 국민의당 대표의 서울시장 출마설에 갈수록 무게가 실리고 있다.
'미니 총선'에 버금가게 판이 커진 재·보선의 경우 민주당 안희정 전 충남지사의 도전 여부가 관심사다.
안 전 지사는 아직까지 출마 가능성에 선을 긋고 있지만, 주변에선 수도권 출마 가능성이 조심스레 거론된다. /연합뉴스
서울 송파을을 비롯해 현재까지 전국 7곳에서 치러지는 국회의원 재·보궐선거와 함께 치러지는 이번 지방선거는 문재인 정부 출범 후 첫 전국 단위 선거로 이후 정국 풍향을 가늠할 1차 척도로 평가된다.
광역 및 기초단체장과 광역·기초 의원, 교육감까지 '풀뿌리 지방 권력'을 일괄 교체하는 이번 선거에서 승기를 거머쥐는 쪽이 이후 정국 주도권을 확보하는 만큼 정권 교체 후 명실상부한 중간성적표를 받아드는 여당이나 반전의 계기를 마련해야 하는 야당 모두 물러설 수 없는 열전을 준비하고 있다.
특히 이번 선거는 해를 넘겨 정국을 뒤흔든 중도통합발 정계개편으로 달라진 정치 구도에서 치러진다는 점에서 '신(新) 4당 체제'의 지속 가능성을 시험하는 무대로도 평가된다.
지난 20대 총선과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과정을 거치면서 더불어민주당, 자유한국당, 국민의당, 바른정당 등 헌정 사상 첫 '원내 4당 체제'가 형성됐다면, 이번 제7대 지방선거를 앞두고 국민의당과 바른정당 통합을 통해 더불어민주당, 자유한국당, 바른미래당, 민주평화당 등 '신 4당 체제'로 재편한 만큼 유의미한 '플러스 알파(+α)'의 결과를 얻어내느냐에 따라 현 체제의 경쟁력이 판가름나기 때문이다.
문재인 대통령의 높은 지지율을 등에 업고 선거를 치르게 되는 민주당은 광역단체장 기준 수도권 3석을 포함해 '9석+α', 등 돌린 보수표심을 아직 다 회복하지 못한 한국당은 전통적 지지기반인 영남 중심의 '6석+α'를 1차 목표로 세워놓고 있다.
바른미래당은 수도권 1~2곳을 포함해 최대 5명의 시도지사 배출을, 민평당은 지지기반인 호남에서 최소 1석 이상의 시도지사를 배출하는 게 승부의 기준이다.
기대에 미치지 못하는 성적표를 받아든다면 여야 지도부 모두 걷잡을 수 없는 후폭풍에 휘말릴 가능성을 배제하기 어려워 지방선거 이후 정국 유동성은 한층 커질 수 있다.
민주당 추미애 지도부의 경우 압승을 거두지 못한다면 집권 2년차 본격적인 개혁 동력을 확보하는 데 실패하는 것은 물론이고 탄핵과 대선을 잇달아 승리로 이끌어 냈다는 기존 성과에도 상처를 입게 된다.
한국당 홍준표 대표는 지방선거에서 보수층 결집에 실패할 경우 누적된 당내 불만이 폭발하며 현 지도 체제에 대한 원심력이 임계치를 넘어서는 상황이 발생할 가능성도 배제하기 어렵다.
신생인 바른미래당의 사실상 양대 주주인 유승민 대표와 안철수 전 대표의 경우 이번 선거에서 유의미한 결과를 얻어내지 못하면 정치적 기반 자체가 근본부터 흔들릴 수 있고, 민평당 역시 독자생존에 실패할 경우 지방선거 이후 또 다른 정계개편에 휘말릴 가능성이 크다.
선거를 100일 앞두고 여야의 대진표가 속속 채워지며 '잠룡' 들의 거취에도 정치권의 이목이 쏠리고 있다.
민주당의 경우 수도권을 중심으로 당내 경선 열기가 이미 뜨겁다.
최대 승부처인 서울시장은 박원순 시장이 이미 3선 도전을 선언한 가운데 박영선, 우상호, 민병두, 전현희 의원 등이 일찌감치 경선전에 뛰어들며 '잠룡'급으로 분류되는 중진들이 대거 포진했다.
경기도지사 역시 지난 대선 경선에 출마한 이재명 성남시장과 전해철 의원, 양기대 광명시장 등이 각축전을 벌이고 있고, 인천시장도 박남춘 의원과 김교흥 전 국회 사무총장, 홍미영 전 의원 등이 경쟁하고 있다.
반면 전반적인 인물 기근에 시달리는 한국당에서는 권영진 대구시장과 서병수 부산시장, 김기현 울산시장 등 영남권 현역들이 출마를 못 박은 가운데 이철우 의원과 이종혁 전 의원 등도 각각 경북과 부산시장에 출사표를 던지고 채비를 서두르고 있다.
바른미래당의 경우 안철수 전 국민의당 대표의 서울시장 출마설에 갈수록 무게가 실리고 있다.
'미니 총선'에 버금가게 판이 커진 재·보선의 경우 민주당 안희정 전 충남지사의 도전 여부가 관심사다.
안 전 지사는 아직까지 출마 가능성에 선을 긋고 있지만, 주변에선 수도권 출마 가능성이 조심스레 거론된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