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인고속도로 일반화사업 범시민참여협의회
지난 10일 인천시청에서 '경인고속도로 일반화사업 범시민참여협의회'가 출범했다. /인천시 제공

인천시가 대규모 구도심 활성화 프로젝트인 '경인고속도로 일반화 사업'에 얽힌 지역별·분야별 이해관계를 풀어내고, 시민 의견을 수렴하기 위한 범시민참여협의회를 구성했다.

경인고속도 일반화 사업을 추진하면서 불거질 수 있는 각종 민원이나 논란을 범시민참여협의회를 통해 적극적으로 협의하겠다는 게 인천시 취지다.

인천시는 지난 10일 시청 대회의실에서 '경인고속도로 일반화 사업 범시민참여협의회' 출범식과 함께 첫 회의를 가졌다고 11일 밝혔다.

협의회는 시민단체를 포함한 시민 299명, 분야별 전문가 12명, 시의원·구의원 27명, 공무원 12명을 비롯해 총 350명으로 구성됐다.

시는 협의회에 '도시계획', '도로', '교통', '산업', '공원·녹지' 등 5개 분과위원회를 두고, 수시로 경인고속도로 일반화 사업 관련 의견을 수렴할 방침이다. 협의회 의견은 인천시가 종합적으로 검토해 올 9월까지 진행할 계획인 경인고속도로 일반화 사업 기본계획에 반영하기로 했다.

경인고속도로 인천기점~서인천IC 구간(10.45㎞)은 지난해 말 일반도로로 전환해 관리권이 인천시로 넘어오면서, 기존 고속도로의 구조를 개선해 대규모 공원·녹지를 조성하고 주변지역에서 도시재생사업을 추진하는 일반화 사업이 본격화했다.

인천시가 우선 추진하고 있는 '제한속도 줄이기(시속 100㎞에서 60㎞)', '진출입로 공사' 같은 고속도로의 일반도로 전환 과정에서부터 각종 민원이 가중되고 있다.

경인고속도로 인천기점 주변 지역인 중구 주민들은 고속도로 폐지 구간에 지하 대체도로를 조성해달라고도 요구하고 있어 인천시가 검토에 나섰다.

이외에도 경인고속도로 일반화 사업 관련 난제가 많다. 경인고속도로가 일반도로로 바뀌었음에도 불구하고, 일반화 구간을 넘어선 부평요금소에서 한국도로공사가 계속 통행료를 받고 있기 때문에 시민들 불만이 크다.

경인고속도로 일반화 구간의 대체도로 성격으로 민간에서 추진하고 있는 '문학~검단 간 지하 고속화도로'도 한국개발연구원(KDI) 공공투자관리센터(PIMAC)의 적격성(사업성) 검토가 예상 일정보다 늦어지고 있다.

인천시가 '소통창구' 역할을 할 범시민참여협의회를 구성한 주요 이유다. 시는 이달 말께 2차 회의를 열어 경인고속도로 일반화 사업 기본계획 용역 진행사항을 보고하고, 1차 회의에서 제기된 의견의 검토 결과를 설명할 계획이다.

인천시 관계자는 "범시민참여협의회 전체 회의는 올해 총 4차례 개최할 계획이지만, 분과별 의견 수렴은 수시로 하겠다"며 "협의회를 통해 경인고속도로 일반화 사업 기본계획의 완성도를 높이겠다"고 말했다.

/박경호기자 pkhh@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