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초·중·고 1인당 사교육비가 5년 연속 상승하며 역대 최고치 기록을 1년 만에 다시 갈아치웠다.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서 절대평가로 전환된 영어는 사교육비 총 규모가 감소한 대신 국어 사교육비는 크게 늘었다. 교과보다는 예체능 및 취미·교양 사교육비 증가세가 뚜렷했다.
교육부는 15일 통계청과 공동 실시한 '2017년 초·중·고 사교육비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는 전국 1천484개교 학부모 4만여명(1천491개 학급 담임 및 방과후 교사 포함)을 대상으로 했다.
1인당 월평균 사교육비는 27만1천원으로 전년보다 5.9%(1만5천원) 증가했다. 5년 연속 상승세를 이어가며 2007년 조사 시작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교육 단계별 사교육비는 초등학생 25만3천원(4.8%↑), 중학생 29만1천원(5.7%↑), 고등학생 28만4천원(8.4%↑)이다.
1인당 월평균 교과 사교육비는 19만8천원으로 3.4%(6천원) 증가했다. 반면 로봇교실, 방송댄스 등 예체능 및 취미·교양은 7만2천원으로 12.9%(8천원) 늘어 증가 폭이 훨씬 컸다.
교과별 사교육비 상승 폭은 국어(1만8천원)가 14.2%로 가장 컸고, 수학(7만8천원) 3.3%, 사회·과학(1만1천원) 8.5%, 영어(7만9천원) 0.5%였다.
사교육비 총 규모는 약 18조6천억원으로 5천620억원(3.1%) 증가했다.
교과 사교육비는 13조6천억원으로 0.6%(800억원) 증가한 반면 예체능 및 취미·교양 사교육비는 5조원으로 9.9%(4천400억원) 늘었다.
과목별 규모(비중)는 영어가 5조4천250억원(29.1%)으로 가장 컸지만 전년보다는 1천193억원 줄었다. 이어 수학 5조3천930억원(29.0%), 체육 2조원(10.5%), 음악 1조7천억원(8.9%), 국어 1조3천억원(6.8%) 순이었다.
사교육 참여율은 2.7% 포인트 상승한 70.5%로 6년 만에 70%대로 올라섰다.
초등학생은 82.3%(2.4%p↑), 중학생 66.4%(2.5%p↑), 고등학생은 55.0%(2.6%p↑)였다.
과목 유형별로는 교과 52.2%(1.2%p↑), 예체능 및 취미·교양 41.1%(3.3%p↑)로 2007년 31.4%에 달했던 과목 간 참여율 격차가 11.1%p로 좁혀졌다.
주당 사교육 참여시간은 6.1시간으로 0.1시간 늘었다.
초등학생은 6.7시간(0.2시간↓), 중학생 6.4시간(0.1시간↑), 고등학생 4.9시간(0.3시간↑), 과목 유형별로는 교과 3.9시간(0.9%↑), 예체능 및 취미·교양 2.1시간(0.3%↑)이었다.
예능 오디션 프로그램과 바둑 인공지능(AI) '알파고' 등 영향으로 예체능 및 취미·교양 사교육 비중은 2012년 18%에서 5년 새 27%로 높아졌다. 특히 지난해 중학생 음악·미술과 고등학생 체육 및 취미·교양 월평균 사교육비는 20%∼70%대 급성장을 보였다.
사교육 목적도 교과 선행학습이나 진학준비는 줄고, 중·고생의 취미·교양·재능개발은 증가했다.
월평균 소득 700만원 이상 가구 사교육비는 45만5천원, 200만원 미만 가구는 9만3천원으로, 격차가 5.0배에서 4.9배로 약간 줄었다. 사교육 참여율 격차도 41.7%p에서 40.5%p로 좁혀졌다.
시·도별 월평균 사교육비는 서울(39만원), 대구(30만원), 경기(28만6천원)가 높았고, 전남(15만7천원)이 가장 낮았다. 참여율은 서울(76.7%), 세종(74.0%), 대구(73.6%) 순이었고, 전남(56.2%)이 가장 낮았다. 울산은 사교육비 총 규모와 1인당 사교육비가 모두 줄어 조선업 구조조정 여파로 분석됐다.
진학 희망학교 유형별 월평균 사교육비(사교육 참여율)는 일반고 27만원(66.0%), 자율고 42만9천원(76.3%), 과학고·외고·국제고 46만6천원(79.4%)이었다.
자녀 수에 따른 1인당 사교육비는 한 명인 경우 29만3천원, 2명 29만원, 3명 이상 20만8천원으로 자녀가 적을수록 1인당 지출이 많았다.
교육부 관계자는 "방과후 학교나 EBS 영어강의는 학교급에 따라 각각 32만3천∼59만9천원, 15만3천∼47만9천원의 사교육비 절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고 말했다.
교육단체 사교육걱정없는세상은 "사교육비가 사상 최고치를 기록한 것은 이명박·박근혜 정부의 고교 서열화와 이에 따른 입시경쟁 격화, 대표적 선행학습 유발 요인인 영재학교·과학고의 입학전형과 교육과정을 방치했기 때문"이라며 수능 전 과목 절대평가 등 근본 대책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연합뉴스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서 절대평가로 전환된 영어는 사교육비 총 규모가 감소한 대신 국어 사교육비는 크게 늘었다. 교과보다는 예체능 및 취미·교양 사교육비 증가세가 뚜렷했다.
교육부는 15일 통계청과 공동 실시한 '2017년 초·중·고 사교육비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는 전국 1천484개교 학부모 4만여명(1천491개 학급 담임 및 방과후 교사 포함)을 대상으로 했다.
1인당 월평균 사교육비는 27만1천원으로 전년보다 5.9%(1만5천원) 증가했다. 5년 연속 상승세를 이어가며 2007년 조사 시작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교육 단계별 사교육비는 초등학생 25만3천원(4.8%↑), 중학생 29만1천원(5.7%↑), 고등학생 28만4천원(8.4%↑)이다.
1인당 월평균 교과 사교육비는 19만8천원으로 3.4%(6천원) 증가했다. 반면 로봇교실, 방송댄스 등 예체능 및 취미·교양은 7만2천원으로 12.9%(8천원) 늘어 증가 폭이 훨씬 컸다.
교과별 사교육비 상승 폭은 국어(1만8천원)가 14.2%로 가장 컸고, 수학(7만8천원) 3.3%, 사회·과학(1만1천원) 8.5%, 영어(7만9천원) 0.5%였다.
사교육비 총 규모는 약 18조6천억원으로 5천620억원(3.1%) 증가했다.
교과 사교육비는 13조6천억원으로 0.6%(800억원) 증가한 반면 예체능 및 취미·교양 사교육비는 5조원으로 9.9%(4천400억원) 늘었다.
과목별 규모(비중)는 영어가 5조4천250억원(29.1%)으로 가장 컸지만 전년보다는 1천193억원 줄었다. 이어 수학 5조3천930억원(29.0%), 체육 2조원(10.5%), 음악 1조7천억원(8.9%), 국어 1조3천억원(6.8%) 순이었다.
사교육 참여율은 2.7% 포인트 상승한 70.5%로 6년 만에 70%대로 올라섰다.
초등학생은 82.3%(2.4%p↑), 중학생 66.4%(2.5%p↑), 고등학생은 55.0%(2.6%p↑)였다.
과목 유형별로는 교과 52.2%(1.2%p↑), 예체능 및 취미·교양 41.1%(3.3%p↑)로 2007년 31.4%에 달했던 과목 간 참여율 격차가 11.1%p로 좁혀졌다.
주당 사교육 참여시간은 6.1시간으로 0.1시간 늘었다.
초등학생은 6.7시간(0.2시간↓), 중학생 6.4시간(0.1시간↑), 고등학생 4.9시간(0.3시간↑), 과목 유형별로는 교과 3.9시간(0.9%↑), 예체능 및 취미·교양 2.1시간(0.3%↑)이었다.
예능 오디션 프로그램과 바둑 인공지능(AI) '알파고' 등 영향으로 예체능 및 취미·교양 사교육 비중은 2012년 18%에서 5년 새 27%로 높아졌다. 특히 지난해 중학생 음악·미술과 고등학생 체육 및 취미·교양 월평균 사교육비는 20%∼70%대 급성장을 보였다.
사교육 목적도 교과 선행학습이나 진학준비는 줄고, 중·고생의 취미·교양·재능개발은 증가했다.
월평균 소득 700만원 이상 가구 사교육비는 45만5천원, 200만원 미만 가구는 9만3천원으로, 격차가 5.0배에서 4.9배로 약간 줄었다. 사교육 참여율 격차도 41.7%p에서 40.5%p로 좁혀졌다.
시·도별 월평균 사교육비는 서울(39만원), 대구(30만원), 경기(28만6천원)가 높았고, 전남(15만7천원)이 가장 낮았다. 참여율은 서울(76.7%), 세종(74.0%), 대구(73.6%) 순이었고, 전남(56.2%)이 가장 낮았다. 울산은 사교육비 총 규모와 1인당 사교육비가 모두 줄어 조선업 구조조정 여파로 분석됐다.
진학 희망학교 유형별 월평균 사교육비(사교육 참여율)는 일반고 27만원(66.0%), 자율고 42만9천원(76.3%), 과학고·외고·국제고 46만6천원(79.4%)이었다.
자녀 수에 따른 1인당 사교육비는 한 명인 경우 29만3천원, 2명 29만원, 3명 이상 20만8천원으로 자녀가 적을수록 1인당 지출이 많았다.
교육부 관계자는 "방과후 학교나 EBS 영어강의는 학교급에 따라 각각 32만3천∼59만9천원, 15만3천∼47만9천원의 사교육비 절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고 말했다.
교육단체 사교육걱정없는세상은 "사교육비가 사상 최고치를 기록한 것은 이명박·박근혜 정부의 고교 서열화와 이에 따른 입시경쟁 격화, 대표적 선행학습 유발 요인인 영재학교·과학고의 입학전형과 교육과정을 방치했기 때문"이라며 수능 전 과목 절대평가 등 근본 대책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