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해5도 어민들은 한반도 평화의 염원을 담아 '한반도'가 그려진 깃발을 어선에 달고 조업에 나설 예정이다. 서해안을 배경으로 한 남북 공동조업에 대한 열망도 어느 때보다 커지고 있다. 이는 올해 6월 지방선거의 인천 이슈와도 무관치 않다.
서해5도는 서해북방한계선(NLL)에 인접한 인천 옹진군 백령도, 대청도, 소청도, 연평도, 소연평도 5개 섬을 이르는 말이다.
이중 가장 최북단에 있는 백령도는 인천항에서 222㎞ 떨어져 있어 사실상 북한 땅이 더 가까운 섬이다. 군사·안보적으로 요충지임은 두말할 필요도 없다. 이 때문에 주요 부처 장관이나 정치인들이 서해5도를 방문할 때면 입을 맞추기라도 한 듯 "주민 여러분이 서해5도에 사는 것 자체가 '애국'입니다"라고 말한다. 그러면서 서해5도 주민들의 정주여건 개선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한마디 더 거든다.
실상은 그렇지 않다. 서해5도 주민들은 여전히 살기 힘들다고 말한다.
여객선은 툭하면 결항해 발이 묶이기 일쑤다. 지속된 가뭄으로 마실 물조차 없어 육지에서 물을 얻어 쓰고 있다. 안보를 이유로 야간 조업·야간 운항이 엄격하게 제한됐다. 산마루는 군 부대가 진지를 만든다며 깎아버렸고, 복구는 엉망이다. 안보 이슈가 터지면 관광객이 급감한다. 여전히 연평도 포격사태(2010년 11월)의 트라우마를 간직하고 있는 곳이기도 하다.
올해 2월 기준 9천448명의 서해5도 주민들은 저마다의 이유로 안보 최전선에 살고 있다. 전쟁 때 피란 온 실향민도 있을 것이고, 처음부터 나고 자란 토박이도 있고, 생업 때문에 살고 있는 직장인, 어부, 농민들도 있을 것이다. 서해 바다 수호를 위해 주둔한 군인들과 그 가족도 엄밀히 말하면 서해5도 주민이다. 평화를 얘기할 때 이들의 행복과 안전을 위한 정주여건 개선을 빼놓아서는 안된다. 주민들에게 '서해5도'는 정치적 구호가 아니라 당장 마주하는 현실이다.
/김민재 인천본사 정치부 차장 kmj@kyeongin.com